검색결과
  • 지상군 철수|조심스럽게 단계적으로

    주한 미 지상군철군협의를 위해「필립·하비브」미 국무차관과 「조지·브라운」합참의장이 6명의 수행원과 함께 24일 낮 12시10분 미군용 특별기 편으로 내한, 25일부터 한미정부간 협

    중앙일보

    1977.05.24 00:00

  • 한국군 병참 지원력 확보

    【워싱턴9일 동양】「해럴드·브라운」미 국방장관은 현안의 주한미지상군 철수와 관련, 미국은 동부 「아시아」에서 불안정을 초래할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을 것이라고 다짐하고 한반도에서

    중앙일보

    1977.05.10 00:00

  • 49년 미군철수 전후 서울-워싱턴 (상)

    「유엔」총회는 1948년 12월12일 한반도에 진주한 외세는『가능한 한 조속한 기일 안에』 군대를 철수하라는 내용의 결의안을 채택했다. 그러나 이에 앞서 미군철수가 곧 실시된다는

    중앙일보

    1977.04.18 00:00

  • 백만 병력이 휴전선서 대치

    【워싱턴 4일 합동】「조지·브라운」 미 합참 의장은 최근 동북「아시아」 지역의 안보에 대한 최대의 위협은 비무장지대를 사이에 두고 1백만명 이상의 병력이 대치하고 있는 한반도에 존

    중앙일보

    1977.04.06 00:00

  • 한반도긴장 완화 위해 상호노력

    【워싱턴=김영희특파원】「카터」 미 대통령과 「후꾸다」(복전) 일본수상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 일본과 동 「아시아」 전체의 안정에 계속 중요하다고 22일 밝혔다. 「카터」대통령과

    중앙일보

    1977.03.23 00:00

  • 미일정상의 대한 인식

    「워싱턴」에서 진행중인 미일 정상회담에 대한 우리의 관심은 결국 주한미군 문제가 어떻게 논의 되느냐 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한미 양국의 소관사인 주한미군 문제에 대해 미·일간의

    중앙일보

    1977.03.22 00:00

  • 오늘 미·일 정상회담

    【동경=김경철특파원】20일 미국에 도착한 「후꾸다·다께오」(복전규부) 일본수상은 「지미·카터」미국 대통령과 21일, 22일 이틀동안 백악관에서 그들이 집권한 이래 첫 정상회담을 열

    중앙일보

    1977.03.21 00:00

  • (4)눈치보는 일본|김경철

    오는 21, 22일의 미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된 일본정부의 입장은『한반도의 균형을 무너뜨리는 일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테두리만 드러났을 뿐 구체적으로는 밝혀지지

    중앙일보

    1977.03.16 00:00

  • 「주한미군 철수」한국과 충분히 협의

    【워싱턴=김영희 특파원】「지미·카터」미 대통령은 10일 상오6시30분부터 45분 동안 박동진 외무부장관과 회담을 같고 미국은 주한미군철수 계획을 검토중이나 그 시기와 방법에 대해서

    중앙일보

    1977.03.10 00:00

  • 브라운 국방과도 회담

    【워싱턴=김영희 특파원】박동진 외무장관은 8일「해럴드·브라운」미 국방장관을 만나 주한미군 철수에 관련된 문제를 논의했다. 박 장관은 회담을 마치고 한국기자들과 만나 자기가「브라운」

    중앙일보

    1977.03.09 00:00

  • 미 육군장관 주한 지상군 필요성 강조

    【워싱턴=김영희 특파원】미국 육군 당국은 4일 미국 지상군이 한국에 계속 주둔해야 동북「아시아」의 안정이 향상되고 소련과 중공이 북괴를 군사적으로 직접 지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

    중앙일보

    1977.03.05 00:00

  • 한일의원련, "주한미군 필요성 인정"

    【동경=고흥길특파원】한일 의원연맹 제6차 총회가 16일 상오 동경 「뉴·오오마니· 호텔」에서 일본의 「우꾸다」(복전)수상·「하모야마」외상과 우리나라의 김종필 한일의원연맹한국측 회장

    중앙일보

    1977.02.16 00:00

  • 박 외무, 호·뉴질랜드 방문

    박동진 외무부장관은 오는 23일부터 26일까지 호주를, 3월 1일부터 4일까지「뉴질랜드」를 각각 4일간씩 공식 방문한다고 외무부가 4일 발표했다. 박 장관은 양국방문중 호주의「존·

    중앙일보

    1977.02.04 00:00

  • 주한미군 철수 강력 반대, 대한방위공약 준수 촉구

    한국반공연맹은 28일 상오 제13차 정기총회를 열고 『우리는 동북「아시아」의 평화를 위태롭게 하는 어떠한 주한미군의 철수도 반대하며 더욱 미국이 방위공약과 조약상의 의무를 성실히

    중앙일보

    1977.01.28 00:00

  • 미의 해외병력 계획의 한가지 목적|북괴의 재래식 공격저지

    【워싱턴=김영희 특파원】「해럴드·브라운」 미 국방장관은 25일 한국에 대한 북괴의 재래식 공격을 저지하는 것이 미국의 해외병력계획의 목적의 하나라고 말했다. 「브라운」 장관은 상원

    중앙일보

    1977.01.26 00:00

  • 몬테일 미 부통령, 우방순방 등정

    【워싱턴=김영희 특파원】「월터·몬데일」 미 부통령은 방일 중 주한미군 철수에 관한 「카터」 대통령의 「일반적인 입장」을 일본 지도자들에게 전달하고 거기에 대한 일본 지도자들의 의견

    중앙일보

    1977.01.24 00:00

  • 주한미군의 감축 방법론

    예상했던 대로 1977년은 동북「아시아」전반의 안정질서를 재조정하기 위한 한·미·일 사이의 활발한 협의기간이 될 것 같다. 미국의「카터」차기 행정부와 일본고전 내각 사이의 협의는

    중앙일보

    1977.01.18 00:00

  • 안보·강제 세미나|아시아정책연구원

    「아시아」 정책연구원(원장 문관식)은 24일∼26일3일간 동북 「아시아」의 국제관계·한국의 안보·한국의 경제를 주제로 하는「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한·미·일

    중앙일보

    1977.01.15 00:00

  • (상)

    【워싱턴=김영희 특파원】2차 세계대전 이후의 미국대통령들은 「제임즈·몬로」를 닮아 자기 이름 밑에다 「독트린」이라는 말을 붙여 외교의 기본노선을 선언하기를 좋아했다. 1947년「트

    중앙일보

    1977.01.08 00:00

  • 모 사후 중·소 관계서 한반도 기류를 짚어본다.

    동북「아시아」의 정세의 변화를 회고하는 몇가지 조짐이 보이는 가운데 새해를 맞는다. 미국·일본·중공에서 있은 정권 교체는 재래의 역관계에 중요한 새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아직까

    중앙일보

    1977.01.01 00:00

  • 「카터」씨와 주한 미군관

    「지미·카터」씨가 미국의 차기 대통령에 당선된 후로는 처음으로 주한 미군의 장래 문제에 관해 다시 한번·자신의 소견을 밝혔다. 앞으로 한국에 와 있는 미 지상군을 감축하는 문제는

    중앙일보

    1976.12.23 00:00

  • 제주 안보 보고회

    【제주=주원상 기자】 최규하 국무총리는 3일 낮 제주KAL「호텔」서 열린 제주지역 안보정세 보고회에서 『최근 동북「아시아」의 정세는 복잡하고도 불안정한 상태에 있다』고 지적하고 『

    중앙일보

    1976.11.03 00:00

  • 금후의 세계 정세|정치·경제에 관한 두 일인 전문가의 강연

    앞으로 세계정세가 어떻게 변모할 것인지는 우리에게 절대적인 관심거리가 아닐 수 없다. 정치적으로는 모택동 사망 후 죽의「커튼」뒤쪽에서 중대한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보이며 이는「아시

    중앙일보

    1976.10.05 00:00

  • 미 한국전재발 대비해야

    【워싱턴 28일 동양】미 육군참모총장과 합참의장을 지낸 퇴역「맥스웰·테일러」장군은 28일 미국은 한국전쟁의 재발이나「이스라엘」-「아랍」의 무력 재 충돌 등과 같은 동북「아시아」와

    중앙일보

    1976.09.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