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빅데이터로 범죄 예측, 전자코로 암 판별 ··· 안전한 세상 열린다

    빅데이터로 범죄 예측, 전자코로 암 판별 ··· 안전한 세상 열린다

    Big data [범죄를 사전에 차단] 머지않아 ‘빅데이터 기반 범죄 예측 시스템’이 범죄 예방에 적극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범죄를 예측하는 것은 영화와 달리 예언자가 아닌 ‘빅

    중앙선데이

    2014.07.04 11:09

  • [2011 전문변호사를 만나다] 지적 재산권 분야의 孫子 특허 전문 권오갑 변호사

    [2011 전문변호사를 만나다] 지적 재산권 분야의 孫子 특허 전문 권오갑 변호사

    대한민국 특허 출원율 세계 4위 지식 재산 보호 수준은 세계 33위 "Patent Troll" 로부터 기업을 보호하라!! 실제로 특허권이나 지식재산권을 집중적으로 확보하고 소송과

    온라인 중앙일보

    2011.02.24 10:00

  • “좀비 PC 이용가치 없어지자 자결 명령 … 무서운 적”

    “좀비 PC 이용가치 없어지자 자결 명령 … 무서운 적”

    관련기사 “내 PC가 국가안보 위협할 수도 … 모두가 보안의식 가져야” 북한, 2004년부터 中 단둥서 해커 거점 가동 7월 4일 미국에서 시작된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중앙선데이

    2009.07.11 23:18

  • 엔터 누르는 순간, 남이 보고 내용 바뀔 수도

    엔터 누르는 순간, 남이 보고 내용 바뀔 수도

    비밀스런 얘기를 하고 싶다면 e-메일은 가급적 피하는게 좋다. 별다른 생각없이 전송을 하면 그 순간부터 안전을 보장하기 어렵다. 서울 가락동의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상황실에서는 매 5

    중앙선데이

    2009.03.15 04:33

  • 엔터 누르는 순간, 남이 보고 내용 바뀔 수도

    엔터 누르는 순간, 남이 보고 내용 바뀔 수도

    서울 가락동에 있는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인터넷 침해사고 대응지원센터 상황실. 우리나라에서 일어나는 민간 인터넷 트래픽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오른쪽 위 세계지도와 흰

    중앙선데이

    2009.03.14 22:19

  • 북한 국가 도메인 ‘kp’ 국제 무대 올라

    북한 국가 도메인 ‘kp’ 국제 무대 올라

    북한을 대표하는 국가 도메인이 ‘.kp’로 사용된다. 국가 도메인을 관리하는 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ICANN)는 지난달 11일 열린 이사회에서 북한 인터넷 주소관리 기관 조선컴퓨터

    중앙일보

    2007.10.04 11:21

  • 전화번호, 이메일, IM, 팩스가 모두 하나의 ID로?

    부시 행정부는 전화번호를 인터넷 주소에 대응시키려는 국제적 제안을 지지하고 나섰다. 최근 미국 상무부는 한 국제 서한에서 미국이 ENUM으로 알려진 최신의 전자번호 시스템에 참여할

    중앙일보

    2003.02.18 16:14

  • 끊임없는 네트워크 공격위협 '이것만은 알아두자!'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은 인터넷 도메인의 이름을 IP 주소로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이 시스템은 권한을 분산시켜 사이트 관리자가 자신의 도메인을 직접 관리하게 할 목적으로 고

    중앙일보

    2003.01.12 15:26

  • 전화번호를 활용한 인터넷 주소체계 추진

    정보통신부는 전화번호를 활용한 인터넷 주소체계(EUM) 도입을 위해 한국인터넷정보센터(KRNIC)를 중심으로 추진협의회를 구성, EUM체계의 수립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28일

    중앙일보

    2002.01.28 09:58

  • 허브딜, 해외무역 클릭 한방이면 OK

    대덕밸리의 인터넷무역업체인 허브딜(대표 김진호, www.hubdeal.com)은 세계 1백77개국에서 이용되고 있는 국제 상품 분류코드(HS코드)의 상위 4단위 1천 4백17개를

    중앙일보

    2001.06.07 09:32

  • 한국, 닷 티브이(.tv) 사용등록 세계3위

    지난해 4월 미국의 한 인터넷 회사가 거액을주고 남태평양의 섬나라 투발루로부터 인터넷 도메인 국가코드를 매입해 화제를 불러 일으켰던 닷 티브이(.tv)의 사용등록비율에서 한국이 3

    중앙일보

    2001.02.22 09:46

  • [북한 이것이 궁금해요] 인터넷 쓰는지…

    Q;애니메이션 작가입니다. 북한에서도 인터넷을 사용하는지, e-메일을 주고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은숙(40.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A: 북한은 1990년대 들어 정보화 산업

    중앙일보

    2001.01.30 00:00

  • [Q&A] 북한도 인터넷 쓰나요

    [Q] 애니메이션 작가입니다. 북한에서도 인터넷을 사용하는지, e-메일을 주고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은숙(40.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A] 북한은 1990년대 들어 정보화

    중앙일보

    2001.01.29 17:37

  • ICANN, 도메인 등록비 수금 난항

    국제 인터넷 주소를 관할하는 국제 인터넷주소관리기구(ICANN)가 도메인 등록비 징수에 애를 먹고 있다. 2년전 ICANN이 출범하기 이전에는 특정 국가를 가리키는 도메인을 운영하

    중앙일보

    2000.11.21 10:54

  • 한글도메인, 이렇게 대처하자

    오는 10일 오전 9시로 등록 시작시점이 확정된 한글(다국어)도메인은 수요자 입장에서는 고민거리가 아닐 수 없다. 무조건 자기 회사나 상품의 이름이 들어간 도메인을 모두 신청할 수

    중앙일보

    2000.11.08 09:47

  • 해커의 은밀한 역사 (2)

    ▶1991 년 KAIST 전산학과에 재학중이던 양기창·이석찬·조용상씨 등이 해킹동아리 ''쿠스''를 결성한다. ▶1992 년 포항공대 이희조씨 등 학생 6명과 오영희씨 등 시스템관

    중앙일보

    2000.11.02 13:25

  • ICANN 도메인명 경쟁 본격 스타트

    새로운 인터넷 주소 경쟁에서는 잽싸고 돈 많은 사람이 당연히 유리하다. 자 지금부터 시작이다. 수년간의 논쟁과 지연 끝에 인터넷 최신 최상급 도메인명을 누구나 쉽게 확보할 수 있게

    중앙일보

    2000.09.14 11:34

  • 유사 도메인도 등록하라

    원하는 도메인을 확보했다고 해서 안심하는 것은 금물이다. 이미 확보한 도메인이 있다면, 철자를 조금씩 변경해 만들 수 있는 유사 도메인에 대해서도 살펴 봐야 한다. 누군가 고의로

    중앙일보

    2000.05.22 14:44

  • [김정일의 북한… 지금 변화중] 8. 정보화 열기

    북한은 지난해 11월 24일 내각에 전자공업성을 신설했다. 세계적인 정보화 물결과 전자산업 발전 추세를 받아들여 경제재건의 토대로 삼겠다는 의지를 내보인 것이다. 북한 컴퓨터 관계

    중앙일보

    2000.05.03 00:00

  • 투발루, 도메인 국가코드 매각

    [런던〓연합] 남태평양의 섬나라 투발루는 자국에 부여된 인터넷 도메인 국가 코드인 닷 티브이(. tv)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최근 미국의 인터넷회사 아이디어랩에 5천만달러(약

    중앙일보

    2000.04.10 00:00

  • 투발루, 도메인 국가코드 매각

    [런던〓연합] 남태평양의 섬나라 투발루는 자국에 부여된 인터넷 도메인 국가 코드인 닷 티브이(. tv)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최근 미국의 인터넷회사 아이디어랩에 5천만달러(약

    중앙일보

    2000.04.09 18:24

  • [헬로 2000] '사이버 독립국' 팔레스타인

    최근 국내에는 닷컴열풍이 불면서 com 도메인을 사용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그러나 닷컴은 매우 제한된 숫자만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후발업체들은 co.kr와 같은 국가 최상위 도

    중앙일보

    2000.03.31 00:00

  • [헬로 2000] '사이버 독립국' 팔레스타인

    최근 국내에는 닷컴열풍이 불면서 com 도메인을 사용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그러나 닷컴은 매우 제한된 숫자만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후발업체들은 co.kr와 같은 국가 최상위 도

    중앙일보

    2000.03.30 19:17

  • 21세기는 ‘닷컴이즘’이 지배한다!

    1969년 미 국방부의 ‘아르파넷’(ARPANET)에 기원을 둔 인터넷이 태어난 지 벌써 30년. 이제 인터넷은 우리의 일상생활과 분리해서는 결코 생각할 수 없는 ‘필수품’이 됐다

    중앙일보

    2000.03.15 1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