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월간중앙] 구루와 목민관 대화 | 최석원 전 공주대 총장과 김태흠 충남도지사의 ‘농업혁신론’

    [월간중앙] 구루와 목민관 대화 | 최석원 전 공주대 총장과 김태흠 충남도지사의 ‘농업혁신론’

    “농민 정년제 도입해 청년들 농촌 오게 하겠다” ■“농업의 스마트 산업화로 중앙정부 정책 변화 견인할 것” ■“한국판 실리콘밸리인 ‘베이밸리’는 수도권과의 합작품” ■“지역 여론

    중앙일보

    2022.12.27 09:00

  • “누가 땀 흘리며 농사해?” 中 농업의 현주소

    “누가 땀 흘리며 농사해?” 中 농업의 현주소

    "토양의 질소(N)∙인(P)∙칼륨(K) 함량이 정상입니다. 밑거름 시비를 추천합니다."   장시성 완녠(萬年)현 농촌의 한 농부가 밭 위에서 휴대전화를 조작하고 있다. 그가 누른

    중앙일보

    2021.06.25 15:09

  • 5년차 소득 3898만원… 청년귀농자 60%가 만족

    5년차 소득 3898만원… 청년귀농자 60%가 만족

     ━  [더,오래] 김성주의 귀농귀촌이야기(42)    지난해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2018 귀농귀촌 청년창업 박람회' 세종특별자치시 부스에서 참

    중앙일보

    2019.03.14 09:00

  • 고속 성장 예상되는 드론 시장 2위는 농업, 1위는?

    고속 성장 예상되는 드론 시장 2위는 농업, 1위는?

     ━  [더,오래] 신동연의 드론이 뭐기에(2)   전문가를 위한 상업용 드론 회사를 창업한 전직 사진기자. 신문사를 퇴직한 뒤 드론과 인연을 맺었다. 미래학자 토머스 프레이는

    중앙일보

    2018.07.31 13:00

  • [이영종의 평양 오디세이] 김정은이 공들이는 ‘평양 강남’ … 트럼프 월드 들어서나

    [이영종의 평양 오디세이] 김정은이 공들이는 ‘평양 강남’ … 트럼프 월드 들어서나

    북핵 포기를 조건으로 한 국제사회의 대북 선물 보따리가 연일 몸집을 불리고 있다. 미국은 “우방인 한국 수준의 번영을 달성하도록 협력하겠다”는 메시지를 북한 김정은에게 보내고 있

    중앙일보

    2018.05.16 00:11

  • [드론의 진화, 어디까지] 사람 태우고 날고 깊은 바다 속도 누벼

    [드론의 진화, 어디까지] 사람 태우고 날고 깊은 바다 속도 누벼

    정보통신기술(ICT)과 결합하며 플랫폼 기능 강화…한국, 퍼스트 무버 키우고 관련 규제 완화해야방위산업 분야에서 진화해온 드론이 최근 항공 촬영을 기반으로 무한 확장하고 있다. 재

    온라인 중앙일보

    2017.02.11 00:01

  • [조원경의 ‘노벨경제학자의 은밀한 향기’ (39)] 완전히 새로운 교육 시스템이 필요하다

    [조원경의 ‘노벨경제학자의 은밀한 향기’ (39)] 완전히 새로운 교육 시스템이 필요하다

    조각가 오귀스트 작품 ‘로뎅의 생각하는 사람(Le Penseur)’. 인공지능이 등장하면서 인간의 상상력마저 위협받고 있다. 창조적인 교육 혁신은 그래서 절박하다.‘이상하고 아름다

    온라인 중앙일보

    2017.01.30 00:02

  • 중국의 감자 기술’ 이미 한국 수준 뛰어넘어

    중국의 감자 기술’ 이미 한국 수준 뛰어넘어

    관련기사 4대 주식으로 격상하라 … 중국, 뜨거운 ‘감자 공정’ 강원대 생명건강공학과 임학태(54·사진) 교수는 유명한 ‘감자박사’다.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에서 분자유전학 박

    중앙선데이

    2015.08.02 00:48

  • 포도 달인과 해충 박사 … 화정 농업보국의 꿈 잇는다

    포도 달인과 해충 박사 … 화정 농업보국의 꿈 잇는다

    제1회 한광호 농업상 시상식이 23일 오전 11시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 영빈관 에메랄드홀에서 열렸다. 강혜원 영광포도원 대표(왼쪽)가 ‘첨단농업인상’을, 정성훈 충남대 교수가 ‘

    중앙일보

    2015.01.26 00:01

  • 우리가 개발한 고추 종자, 외국서 수입 왜?

    우리가 개발한 고추 종자, 외국서 수입 왜?

    ‘농부아사(農夫餓死) 침궐종자(枕厥種子)’라는 옛말이 있다. 농부는 기근으로 굶어죽는 한이 있어도 이듬해 뿌릴 씨앗을 남겨 머리에 베고 죽는다는 뜻이다. 농민에게 씨앗은 목숨과 바

    온라인 중앙일보

    2012.09.23 09:56

  • 씨앗 수입 막히면 청양 고추도 못 먹을 판

    씨앗 수입 막히면 청양 고추도 못 먹을 판

    ‘농부아사(農夫餓死) 침궐종자(枕厥種子)’라는 옛말이 있다. 농부는 기근으로 굶어죽는 한이 있어도 이듬해 뿌릴 씨앗을 남겨 머리에 베고 죽는다는 뜻이다. 농민에게 씨앗은 목숨과

    중앙선데이

    2012.09.23 01:56

  • 지역 농협 1167곳 개혁 못하면 국민 돈 5조원 물거품 된다

    지역 농협 1167곳 개혁 못하면 국민 돈 5조원 물거품 된다

    농협이 다음 달 2일 새 옷을 입는다. 농협중앙회 아래 금융지주회사와 경제지주회사를 두기로 한 것이다. 개혁이 논의된 지 18년 만의 결실이다. 지금은 중앙회가 돈도 빌려주고, 예

    중앙일보

    2012.02.22 00:32

  • [지방이 경쟁력이다] 구미 국화꽃단지

    [지방이 경쟁력이다] 구미 국화꽃단지

    ▶ 경북 구미시 옥성면 낙동강변에 있는 국내 최대의 국화재배 단지인 구미 원예수출공사 유리 온실에서 직원들이 국화를 수확하고 있다.[조문규 기자] 경북 구미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중앙일보

    2005.01.12 19:14

  • [변하는 남미] 7. 남미 속의 한국

    [변하는 남미] 7. 남미 속의 한국

    ▶ 브라질 상파울루 외곽에 자리잡은 삼성전자 공장에서 직원들이 휴대전화를 조립하고 있다. 염태정 기자▶ 브라질 상파울루 축구팀의 스타디움. LG전자가 상표를 붙이는 권한을 확보해

    중앙일보

    2004.08.22 18:43

  • "연예기획 체계화" "상업주의 일변도" 엇갈려

    국내 최고의 연예기획사로 손꼽히던 SM엔터테인먼트가 대표의 구속 등으로 어려움에 직면했다. 이 회사 최대 주주인 이수만(李秀滿·50)씨는 현재 미국 쪽과의 업무협력 추진을 위해 미

    중앙일보

    2002.07.27 00:00

  • [내고장 이색모임] 광주 '물 한방울, 흙 한줌'

    광주의 '물 한방울, 흙 한줌' 은 물 한방울이라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이 삶의 터전을 지킨다는 생각으로 '녹색 세상' 을 꿈꾸는 사람들이 모여 만들어졌다. 광주환경운동연합 강좌에서

    중앙일보

    2001.07.12 00:00

  • 농업회사 현주소 진단…문제점

    기업 영농 육성으로 한국 농업의 고질병인 영세성을 극복하기 위해 90년 도입된 농업회사법인 제도에 따라 농업회사가 지난해말 현재 1천4백19개로 크게 늘었다. 그러나 이같은 외적

    중앙일보

    1997.09.29 00:00

  • 농업회사 현주소 진단…사례

    "농작업 대행만 해서는 만성적인 경영난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농산물.농자재의 생산.유통.판매등 다른 소득사업을 병행해야 합니다. " 전남담양군대전면대치리에서 6년째 '대전위탁영

    중앙일보

    1997.09.29 00:00

  • 농업회사 현주소 진단…현황

    ◇ 운영실태 = 95년 자본금 5천만원으로 출발한 울산의 '신토불이 위탁영농' 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1억9천만원대의 순수익을 기대한다. 회사원 (5인) 1인당 4천만원 가까이

    중앙일보

    1997.09.29 00:00

  • 사회분야 좌담(전환과 왜곡/5·16유산 재조명:1)

    ◎군사문화가 가치관 혼란 불렀다/「힘의 논리」 만연… 부·권력 편재 심화/지역갈등 조장 정통성없는 정권유지/지배층 반민주성이 민주주의 장애/5·16 없었어도 공업화 이행 필연/개혁

    중앙일보

    1994.05.16 00:00

  • -아파트로 성가 굳힌 한국건축기술

    리비아 국가원수 카다피의 아버지는 지금도 천막에서 살고 있다. 모든 국민들이 제 집을 가진 다음에야 지도자 가족들도 집을 마련한다는 생각에서다. 카다피의 통치스타일을 말해주는 일화

    중앙일보

    1989.12.12 00:00

  • 한국 경제발전이 "삼자서"|미 「하우프」박사 본지 창간 22조 특별인터뷰

    소련과 중공이 추진하고 있는 경제개혁과 개방정책은 한국을 둘러싼주변 분위기에도 큰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관심거리다. 미국의 공산문제 전문가 「제리·하우프」박사(듀크대교수)는 두 나

    중앙일보

    1987.09.26 00:00

  • (3800)제79화 육사졸업생들(253)|생도2기의 현주소

    앞서 언급했듯이 3백30명의 생도2기생중 생도신분으로 희생된 분은 모두 90명이고 동래종합학교에서 소위로 임관한뒤 백마고지전투등 격전지에서 전사한분이 48명이나 됐다. 실로 생도2

    중앙일보

    1983.08.26 00:00

  • 전직관료들…어느 자리에…

    전직 -쉬운 문제가 아니다. 때로는 자의로, 또 더러는 타의로 일자리를 물러나고 경우에 따라서는 후진을 위해 용퇴를 하지만 새직장을 찾아 나서야 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전직고급공

    중앙일보

    1981.08.1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