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김봉준의 진밭골 그림편지] 가을걷이

    동남풍은 가고 밤이면 이슬 내려 차고 아침이면 안개 자욱합니다. 서풍에 들려오는 가을 벌레소리 스산합니다. 봄에는 씨 뿌리고 여름에는 김을 매고 가을에는 백곡을 거두었습니다. 산에

    중앙일보

    2003.10.03 17:20

  • [정일근의 여름나기 편지] 도라지 사랑

    도라지는 여름에 꽃을 피웁니다. 흰꽃도 피고 보라색 꽃도 핍니다. 요즘에도 꽃이 좋아 도라지 꽃밭을 지날 때 그냥 지나치기가 어려울 정도입니다. 시골사람들 텃밭에다 도라지를 심어

    중앙일보

    2003.08.20 17:48

  • 산채 비빔밥은 복합 항암제

    지난 4일 서울대병원 임상의학연구소에서 열린 대한암예방학회 학술대회. 서양의학자들 앞에서 산나물 강의가 푸짐하다. 발표자는 강원대 바이오산업공학과 함승시 교수. 산야초(山野草)의

    중앙일보

    2003.07.11 10:17

  • [week&건강] 산채 비빔밥은 복합 항암제

    [week&건강] 산채 비빔밥은 복합 항암제

    지난 4일 서울대병원 임상의학연구소에서 열린 대한암예방학회 학술대회. 서양의학자들 앞에서 산나물 강의가 푸짐하다. 발표자는 강원대 바이오산업공학과 함승시 교수. 산야초(山野草)의

    중앙일보

    2003.07.10 15:28

  • [과학과 사회의 만남] (1) 과학기술중심사회로 가려면

    과학기술의 발전은 그 사회가 얼마나 잘 수용하느냐에 따라 상당부분 좌우된다. 과학기술을 경제성장의 도구 정도로 생각했던 선진국들이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높이는 등 사회와

    중앙일보

    2003.06.18 15:18

  • [우리말 바루기] 돌나물

    봄은 산나물의 계절이다. 향기로운 멧미나리, 도톰하고 달큰한 두릅, 쌉쌀한 개두릅, 아기 손 같은 고사리, 털이 보송한 삽주싹…. 산나물 무침에는 이 산 저 산 옮겨 다니며 하나

    중앙일보

    2003.05.08 17:22

  • [수도권 생활정보] 4월 29일

    *** 이벤트 새끼 은어야, 한강에서 잘 자라거라. 서울시는 다음달 2일 오후 3시 천호대교 남단 한강시민공원 광나루 둔치에서 '은어 치어 방류 행사'를 연다. 시는 2급수 이상

    중앙일보

    2003.04.28 19:20

  • 향긋한 봄나물 맛있게 먹기

    향긋한 봄나물 맛있게 먹기

    '봄나물 대령이오.' 요즘 장보러 나가면 자주 듣는 외침이다. 눈을 돌리면 푸른 봄나물이 판매대 위에 가득하다. 달래.냉이.쑥.씀바귀.두릅.원추리.취.봄동.돌미나리…. 봄나물에는

    중앙일보

    2003.03.07 10:00

  • [맛 세상] 봄나물 맛있게 먹기

    [맛 세상] 봄나물 맛있게 먹기

    "봄나물 대령이오." 요즘 장보러 나가면 자주 듣는 외침이다. 눈을 돌리면 푸른 봄나물이 판매대 위에 가득하다. 달래.냉이.쑥.씀바귀.두릅.원추리.취.봄동.돌미나리…. 봄나물에는

    중앙일보

    2003.03.06 15:49

  • [식품 이야기] 시금치

    뽀빠이가 즐겨 먹는 시금치. 일년 내내 재배되지만 내한성(耐寒性)이 강해 대표적인 겨울 채소로 꼽힌다. 우리 국민의 하루 시금치 섭취량은 연 평균 4.3g이지만 겨울엔 9.6g이나

    중앙일보

    2003.01.13 17:54

  • [식품 이야기] 시금치

    뽀빠이가 즐겨 먹는 시금치. 일년 내내 재배되지만 내한성(耐寒性)이 강해 대표적인 겨울 채소로 꼽힌다. 우리 국민의 하루 시금치 섭취량은 연 평균 4.3g이지만 겨울엔 9.6g이

    중앙일보

    2003.01.13 16:06

  • 밤·호두·곶감 먹으니 熱나네

    ◇열성 높은 음식들=식품의 기능은 우리 몸에서 열을 나게하는 열성(熱性), 몸을 차갑게 하는 냉성(冷性), 그리고 중성으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기온이 떨어지는 늦가을부터는 냉

    중앙일보

    2002.11.19 00:00

  • [추위 이기기 좋은 식품]

    ◇열성 높은 음식들 식품의 기능은 우리 몸에서 열을 나게하는 열성(熱性), 몸을 차갑게 하는 냉성(冷性), 그리고 중성으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기온이 떨어지는 늦가을부터는 냉

    중앙일보

    2002.11.18 16:58

  • [추석특집여덟마당]계수나무로 초가삼간 짓는 까닭은

    천문학적으로 보면 달이 일년 중 가장 크게 보이는 것은 4월이고, 가장 작게 보이는 것은 12월이라고 한다. 음력으로 환산해 보아도 우리의 상식과는 거리가 멀다. 그런데도 팔월

    중앙일보

    2002.09.20 00:00

  • '곡류중의 영물' 메밀…단백질 듬뿍

    오방지영물(五方之靈物)-메밀. 과거엔 곡물이 떨어졌을 때 요긴한 구황(救荒)작물이었다. 씨를 뿌리고 두달만 기다리면 거둬들일 수 있고 추운 곳, 높은 산지에서도 잘 자라 굶주림 방

    중앙일보

    2002.08.20 11:31

  • '곡류중의 영물'메밀

    오방지영물(五方之靈物)-메밀. 과거엔 곡물이 떨어졌을 때 요긴한 구황(救荒)작물이었다. 씨를 뿌리고 두달만 기다리면 거둬들일 수 있고 추운 곳, 높은 산지에서도 잘 자라 굶주림

    중앙일보

    2002.08.20 00:00

  • 건강식·별미로 손색없는 '야채요리' 맛깔나게 먹자!

    오이.상추.깻잎.감자.호박.미나리.콩나물.표고버섯 등이 판매대마다 수북하다. 샐러리.브로컬리.피망.파프리카.아스파라거스.콜리플라워 등 가격표를 보지 않곤 이름조차 알 수 없는 서양

    중앙일보

    2002.05.17 11:50

  • 입맛돋우는 고사리.고비.모시대... 봄나물캐러가자

    봄나물도 뜯고 바람도 쐬러 산과 들로 나가보자-. 며칠간 내린 비로 산야는 흠뻑 생기를 머금고 있다. 파릇파릇 피어오르던 새싹들도 싱그러움을 더한다. 따뜻한 봄햇살은 나들이를 재

    중앙일보

    2002.05.03 00:00

  • '나물문화' 속에 또다른 미래가…

    겨 울은 귀로 듣고 봄은 눈으로 본다. 겨우네 방안에서 문풍지 소리만 듣다가 창을 열고 나서면 일제히 들판은 초록색으로 변하고 검은 나뭇가지에는 현란한 꽃들이 핀다. 그것을 더욱

    중앙일보

    2002.04.01 00:00

  • [박태균의 식품 이야기] 미나리

    '산엔 도토리, 들엔 녹두, 바다엔 문어, 논엔 미나리가 있다'. 도토리묵.녹두로 만든 청포.문어 무침.미나리가 들어간 해물탕을 잔치음식으로 제공하면 뒷말과 뒤탈이 없다는 옛말이다

    중앙일보

    2002.03.19 10:52

  • 미나리

    '산엔 도토리, 들엔 녹두, 바다엔 문어, 논엔 미나리가 있다'. 도토리묵·녹두로 만든 청포·문어 무침·미나리가 들어간 해물탕을 잔치음식으로 제공하면 뒷말과 뒤탈이 없다는 옛말이

    중앙일보

    2002.03.19 00:00

  • [최주영의 스타일 푸드] 봄내음 그윽한 봄나물

    [최주영의 스타일 푸드] 봄내음 그윽한 봄나물

    김장 김치가 잔뜩 시어버려 상큼한 무엇인가가 그리운 때다. 어릴 적 이 맘때면 엄마가 무쳐주던 나물 맛이 그리워 한 웅큼 장바구니에 넣어왔지만 아무리 해도 그 맛이 아니다.고민하는

    중앙일보

    2002.03.06 09:44

  • 알싸하고 쌉쌀한 맛 봄내음 그윽한 봄나물

    김장 김치가 잔뜩 시어버려 상큼한 무엇인가가 그리운 때다. 어릴 적 이 맘때면 엄마가 무쳐주던 나물 맛이 그리워 한 움큼 장바구니에 넣어왔지만 아무리 해도 그 맛이 아니다. 고민

    중앙일보

    2002.03.06 00:00

  • 인사동 보리 화단

    인사동. 직업상 자주 가는 곳이기는 하지만 익숙하고도 낯설다.몰려든 사람들 때문일 것이다. 특히 주말이면 거리와 식당에는 사람들이 넘쳐난다. 그런데 희한하게도 인사동 큰길이 아닌

    중앙일보

    2002.02.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