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소년중앙]한여름 논에선 벼만 쑥쑥 클까요 물방개·소금쟁이도 함께 살죠

    [소년중앙]한여름 논에선 벼만 쑥쑥 클까요 물방개·소금쟁이도 함께 살죠

    매일 우리 밥상에 오르는 쌀은 벼에서 껍질을 벗겨 낸 알맹이에요. 약 1m 길이의 벼들이 빽빽이 뿌리 내린 논. 자세히 들여다보면 벼 말고도 여러 생물이 살고 있어요. 김재현·임

    중앙일보

    2021.08.09 09:00

  • [소년중앙] 소중 책책책-서평 쓰고 책 선물 받자

    [소년중앙] 소중 책책책-서평 쓰고 책 선물 받자

     만물이 생동하는 봄. 겨우내 메말랐던 가지에는 꽃이 피고, 추운 겨울 땅속 깊이 웅크리고 있던 곤충들은 따스한 햇볕을 향해 움직입니다. 봄이면 찾아오는 반가운 손님들인데요. 여

    중앙일보

    2021.03.29 09:00

  • "시신 350구 해부하니 삶 보여" 의대 6년차 이 남자가 간 곳

    "시신 350구 해부하니 삶 보여" 의대 6년차 이 남자가 간 곳

      “죽음을 생각하면서 사는 삶과 죽음을 외면하면서 사는 삶, 이 둘은 하늘과 땅 차이다.”   지난달 29일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의 바람은 차가웠다. 그곳에 있는 도전 돌밭공동

    중앙일보

    2021.01.01 00:30

  • 장에만 좋은 줄 알았더니 … 유산균, 미세먼지 독성도 줄인다

    유산균을 활용해 미세먼지 독성을 낮출 수 있는 기술이 특허를 받는 데 성공했다. 한국야쿠르트는 “야쿠르트의 대표적인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HY2782’ 균주 조성물이 미

    중앙일보

    2018.11.09 00:02

  • 아프지 않은 주사, 모기에게 배웠다…블루 이코노미가 뜬다

    아프지 않은 주사, 모기에게 배웠다…블루 이코노미가 뜬다

     ━  생태학(Eco-logy)과 경제학(Eco-nomics)이 같은 어원(Eco)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에코(Eco)는 그리스어 ‘오이코스(oikos)’에서

    중앙일보

    2018.09.02 06:00

  • '한국왕딱부리반날개' 등 곤충 50종 우리말 이름 얻었다

    '한국왕딱부리반날개' 등 곤충 50종 우리말 이름 얻었다

    다정큼나무이. 난대성 상록활엽수인 다정큼나무를 먹고 자라는 곤충이라고 해서 이번에 국립생물자원관이 '다정큼나무이'로 이름을 붙였다.[사진 국립생물자원관] '두눈긴가

    중앙일보

    2017.10.08 12:00

  • [7인의 작가전] 인 더 룸 #7

    [7인의 작가전] 인 더 룸 #7

    _ 2막   "오션 시네마입니다“ "극장이죠? 지금 하고 있는 영화가 뭐죠?“ "미스 카프카입니다." 전화기 저편의 목소리가 더 이상 들리지 않는다. 암컷 벌레와 성교하는 장면을

    중앙일보

    2017.01.07 00:01

  • [위클리 이슈] DIASPORA

    [위클리 이슈] DIASPORA

    AP=뉴시스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말로 ‘사방으로 흩어졌다’는 뜻입니다. 본래 팔레스타인을 떠나 세계에 흩어져 사는 유대인을 가리키던 말이지만 지금은 ‘자의든 타의든, 살던 땅을 떠

    온라인 중앙일보

    2015.09.13 00:01

  • [권오길이 쓰는 ‘생명의 비밀’] 남자의 거시기를 닮은 '개불'

    [권오길이 쓰는 ‘생명의 비밀’] 남자의 거시기를 닮은 '개불'

    개불잡이는 겨울이 제철이며 요즘은 중국산이 판을 친다. 개불(Urechis unicinctus)은 의충동물문(?蟲動物門), 개불목, 개불과의 해산무척추동물이다. 한때 분류상으로 긴

    온라인 중앙일보

    2015.09.05 00:01

  • [뉴스클립] Special knowledge 자연에서 배운다 … 청색기술

    [뉴스클립] Special knowledge 자연에서 배운다 … 청색기술

    이철재 기자 한해살이 풀인 도꼬마리는 씨앗에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달렸습니다. 덕분에 씨앗이 동물에 착 달라붙어 먼 곳까지 퍼질 수 있습니다. 1941년 스위스의 조르주 드 메스트

    중앙일보

    2015.08.31 00:30

  • 수상레저 안전사고 막으려면

    수상레저 안전사고 막으려면

    청소년들의 야외활동이 활발한 시기다. 더구나 무더위가 계속되면서 물놀이를 즐기는 가족들이 늘고 있어, 안전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사고 발생하면 해양긴급전

    중앙일보

    2010.06.14 14:36

  • [BOOK] 나른한 봄 원기 충전, 소설이 묘약이지요

    [BOOK] 나른한 봄 원기 충전, 소설이 묘약이지요

    문학을 일컬어 콘텐트의 보고(寶庫)라 합니다. 재미와 감동을 주는 이야기는 우리를 웃고 울리며 때로는 주먹을 불끈 쥐게 합니다. 해서 이번 주엔 이를 제대로 보여줄 발랄하고 유쾌

    중앙일보

    2010.04.03 01:54

  • [golf&] ‘열세 살 최경주’ 서형석

    [golf&] ‘열세 살 최경주’ 서형석

    골프 신동 서형석군이 힘차게 드라이브 샷을 하고 있다. 평균 드라이브 샷 거리가 260야드를 넘는 서군은 마스터스에서 우승하는 것이 꿈이라고 말했다. 배경은 태국의 한 골프장 사진

    중앙일보

    2010.03.19 08:57

  • [삶과 추억] 타계한 판소리 대가 박동진 명창

    [삶과 추억] 타계한 판소리 대가 박동진 명창

    8일 87세를 일기로 타계한 박동진(朴東鎭)명창은 판소리의 예술성과 대중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면서 1970~80년대를 풍미했던 최고 인기의 소리꾼이었다. 68년 9월 '

    중앙일보

    2003.07.08 18:53

  • 125㎏ 얼음 붙잡고 흰곰 "아,행복해"

    푹푹 찌는 무더위에 밀림의 제왕 호랑이도 그늘 밑에 축 늘어져 있다. 야외 방사장에서 사육사가 물줄기를 뿌려주자 열두살 호랑이 '백두'가 벌떡 일어나 "어흥"하며 포효한다. 난간

    중앙일보

    2002.08.02 00:00

  • 아동문학가 이오덕씨 60년대 초등생제자 시 모아 발간

    "노란 서숙/고개 숙이고/서숙밭에 새 후치는/깡통/바람 불면/땡그랑 땡그랑/대가빠리만 달린/허수아비도/깍꿀로 덕새를 넘는다. " 34년전 시골 초등학교 4학년생이 쓴 동시다. 조

    중앙일보

    1998.10.01 00:00

  • 꼬마 물벌레 울음소리 국내최초 수중녹음

    피라미의 짝짓기와 산란, 동자개의 산란실과 부화된 알…. 25일 오후6시15분 KBS1 TV가 방영하는 자연다큐멘터리 '환경기획 - 태화강' 에서 민물고기의 은밀한 생활모습을 볼

    중앙일보

    1998.07.25 00:00

  • 타인과의 거리 좁히기

    얼마전 TV에서 장애인 가요대전을 봤다.그들은 불편한 몸으로도 하나같이 겸손해 아름다웠다.깊은 고통의 우물에서 길어올린 물이었다.참 맑았다.남을 도우며 살고 싶다는 한 학생의 말이

    중앙일보

    1997.05.24 00:00

  • MBC창사특집 자연다큐멘터리 "어미새의 사랑"

    붉은머리 오목눈이(뱁새) 둥지에 알을 낳는 뻐꾸기.알에서 깨자마자 진짜 뱁새의 알과 새끼를 둥지 밖으로 떨어뜨리는 뻐꾸기새끼.자신들의 머리가 입속에 쑥 들어갈 정도로 커버린 뻐꾸기

    중앙일보

    1995.12.12 00:00

  • (32)자동판매기

    『코피나오너라 뚜욱딱/우유나오너라 뚜욱딱-.』도깨비방망이처럼 동전을 넣고 버튼을 누르기만하면 코피나 우유·코코아·담배등이 윈하는대로 쏟아져나온다. K상사회계과 막내 김미연양(19

    중앙일보

    1983.03.01 00:00

  • 신춘「중앙문예」단편소설 당선작 쓰러지는 빛|최명희

    남자는하루 종일 마당에서 서성거렸다. 그것도, 허름한 잠옷 바람으로. 한손을 허리 춤에 찌른채, 한 손으로는 가끔씩 부스스한 상고머리를 뒤쪽으로 쓸어 넘기며, 발로 울타리를 툭툭

    중앙일보

    1980.01.01 00:00

  • 과일차

    서양화가 라희균씨가 즐기는 겨울차는 산향나무(아가위나무)의 열매를 말려 다린 아가위차. 엷은 감미와 신맛이 미묘하게 조화된 새콤한 맛의 아름다운 붉은 빛깔차다. 자택의 자그마한 뜰

    중앙일보

    1975.12.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