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금주의 인물] 9월 셋째주

    이번주 인물검색에는 사회 각계각층의 인물들이 두루 상위권에 포진하고 있다. 청와대와 한나라당 사이의 팽팽한 긴장을 유발시켰던 김두관 행자부 장관의 해임안과 관련 金장관이 결국 사퇴

    중앙일보

    2003.09.19 09:54

  • 권중휘 前서울대 총장 별세

    해방 전 한국의 1세대 영문학자이자 셰익스피어 문학의 권위자인 권중휘 전 서울대 총장이 8일 오후 8시40분 서울대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98세. 1905년 경북 안동에서 태

    중앙일보

    2003.09.09 16:43

  • 서울대 총장|한때 시국 따라 부침…「총장 중의 총장」

    국립 서울대학교의 초대 총장은 법학 박사인 미군 해리B 앤스테드 대위였다. 당시 임명권은 미군정 장관에게 있었던 만큼 당연한 인사였다. 그러나 한국 지성의 요람인 서울대의 초대 수

    중앙일보

    1991.07.19 00:00

  • 전민조씨 인물사진집 「얼굴」

    ○…사진작가 전민조씨가 인물사진집 『얼굴』을 내놓았다 15년간의 취재현장에서 만났던강동석(음악가) 강신호(동아제약 사장) 고은정(성우) 곽상훈(정치인) 권중휘(전서울대총장) 김경오

    중앙일보

    1986.04.08 00:00

  • 80대가 말하는 나의 인생 나의 건강

    『나 같은 약골이 이렇게까지 오래 살 줄은 몰랐어. 그렇다고 남들처럼 무슨 운동을 하거나 내세울만한 비결이 있는 것도 아닌데 말이야…』 당뇨에다 위궤양을 두 번, 신장염을 세 번이

    중앙일보

    1985.11.09 00:00

  • 학칙 엄격히적용

    박봉식 서울대총장은 2일취임식에서 학칙을 엄격히 준수하는 학사행정을 펴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총장은『학원도 하나의 공동체 사회이며 공동체사회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구성원 모두가 믿고

    중앙일보

    1985.08.02 00:00

  • 서울대학교 총장이라는 자리|17명 째… 39년 동안의 영욕

    국립서울대학교총장. 학원상황이 어수선한 가운데 박봉식 박사가 22일 17번째 그 자리에B앉았다. 지난46년 개교이후 39년 동안 16명이 그 자리를 거쳐갔다. 최고의 지성을 대표하

    중앙일보

    1985.07.23 00:00

  • (41)안동 권씨

    안동 권씨는 고려조의 사성이다. 시조는 김행. 그는 원래 신라왕실의 후예로 본명은 김행 이었다. 관직은 고창군(현재 안동)별장. 신라가 극도로 부패, 잇단 민란으로 국운이 기울어

    중앙일보

    1982.11.20 00:00

  • "식사와 잠자는 시간은 반드시 지킨다"

    『50대를 넘길 것 같지 않았는데 이렇게 제법 오래사네….』 영문학자이며 전서울대총장이었던 권중휘옹(76·서울중구신당동333)은 이러면서 특유의 온화한 웃음을 지었다. 권옹은 전염

    중앙일보

    1981.12.23 00:00

  • 공석 학·예술원 정회원 64명 새로 임명

    정부는 지난 4월에 학·예술원회원 정년을 70세로 규정한 개정문화보호법에 따라 공석이 된 학·예술원정회원 72명(학술원 48·예술원 24)중 64명(학술원 44·예술원 20)을 1

    중앙일보

    1981.08.13 00:00

  • 새 문화보호법에 따른 학·예술원 재편성- 추천-승인-임명과정에 문제점 수두룩

    학·예술원의 거센 반발에도 불구하고 문화보호법 개정안이 입법회의를 통과함으로써 학·예술원은 불가피하게 개편의 진통을 겪게 됐다. 법사위는 양원의 반발을 감안, 기왕의 70세 정년제

    중앙일보

    1981.04.01 00:00

  • 「서산농원」운정장학재단에 출연

    김종필공화당총재는 8일 자신이 소유하고있던 충남서산소재 「삼화축산」의 전 재산을 5년전 그가 설립한 운정장학재단(이사장 최규남)에 출연했다. 삼화축산은 대지 6백42만9천평의 산림

    중앙일보

    1979.12.08 00:00

  • 지구상의 모든 언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외대 새 자료 센터

    세계 여러 나라의 언어는 물론이고 지금은 없어진 사어· 희귀어를 몰라도 찾을 수 있는 외국어 자료 정보 「센터」가 한국 외국어대 도서관 안에 설치되어 학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특

    중앙일보

    1979.05.28 00:00

  • 신년특집 16면 발행

    2면=신춘「중앙문예」당선자 발표 3면=원단논단 『보다더 어른스러워 질 때가 됐다』 -권중휘 4면=『올해 나라살림, 부엌살림 어떻게 되나』 5면=본사정치부기자 방담 『79년 정치기류

    중앙일보

    1979.01.01 00:00

  • 우리 다 함께

    「일이 인생」이란 말도 있고「일하지 않는 자는 먹지 말라』는 말까지 생기게 되었으니 일하려고 사람마다 몸부림치는 사태를 이상하다 할 수도 없겠다. 더욱이 오늘과 같이 국제경쟁이 가

    중앙일보

    1977.10.22 00:00

  • 성적 아주 나쁘면 진로 바꿔야|자포자기하면 출발만 더 늦어

    시험점수도 발표한다니 1·2점 차이로 아주 분하게 떨어진 학생이라면 내년의 기회를 다시 엿볼수도 있겠다. 그러나「커트·라인」보다 점수차가 심하게 낙방했다면 아예 진로를 바꾸는 문제

    중앙일보

    1976.12.28 00:00

  • 「중앙문화대상」시상식 거행

    제2회「중앙문화대상」시상식이 6일 하오 3시 본사회의실에서 거행되었다. 수상자 및 가족·친지, 권중휘·나세진 박사 등 심사위원과 추천위원 등 50여명이 참석한 시상식에서 본사 홍진

    중앙일보

    1976.10.07 00:00

  • 심사경과

    1973년7윌1일부터 금년6월30일까지의 업적을 대상으로 한 금년도 제2회「중앙문화대상」에는 모두 26건(학술17·예술9)이 추천, 접수되었다. 이것은 지난 6월30일 마감한 본사

    중앙일보

    1976.09.24 00:00

  • (13)재임용 제 시행을 계기로 본 그 실상|가족교수

    일부 직업에 따라서는 부모의 직업을 계승하는 자손이 적지 않다. 특히 대학교수의 경우 10명중 5, 6명은 자녀가운데 한 명 이상이 대학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셈이라는 얘기다. 여교

    중앙일보

    1976.06.02 00:00

  • 현대의 효|내가 바라는 효

    오늘날 「효」에 대한 관건은 저마다 구구하다. 「효」를「덕성」의 표현 아닌 「덕목」만의 표현으로 생각하는 사람들도 없지 않다. 오늘을 함께 살고있는 우리사회의 원로들은 어떤 효를

    중앙일보

    1975.11.24 00:00

  • 정과 경의와 신의가 매 마른 세태|권중휘 (전 서울대 총장)

    인정은 말·글·표정·행동을 통해 전달된다. 이런 매개가 없이 인정의 교류를 바라는 것은 진공 상태에서 말을 나누려는 것과 같겠다. 이래서 옛날부터 이재자나 불행한 사람에게 구호품을

    중앙일보

    1975.10.11 00:00

  • 총력 안보 체제 강화 필요

    실업계·학계·문화계 등 각계 원로급 인사 55명이 참여한 구국 동지회(회장 이갑성) 발기 총회 및 시국 선언 대회가 2일 상오 시내 「뉴서울·호텔」에서 열렸다. 대회는 이날 채택한

    중앙일보

    1975.05.02 00:00

  • 「셰익스피어」협회 공개강좌 다시 열어

    한국「셰익스피어」협회(회장 권중휘)는 그동안 중단되었던 「셰익스피어」 공개강좌를 4월부터 다시 열었다. 4월 11일 『오델로』 강좌(강사 오화섭·연대 교수)로 시작되는 이 공개강좌

    중앙일보

    1975.04.11 00:00

  • 김 총리 사재로「운정 장학재단」설립

    문교부는 9일 김종필 국무총리가 기증한 시가 5억원 규모의 제주도 감귤농원을 기금으로 김 총리의 호를 따「운정 장학재단」을 설립, 내년부터 장학금을 지급키로 했다. 문교부는 이날

    중앙일보

    1974.03.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