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백화점 일제 안전점검-업계,三豊붕괴 대책 비상

    삼풍백화점의 붕괴사고로 유통.건설업체및 호텔등이 일제 안전점검에 나서는등 대형건물을 소유하고 있는 기업마다 「안전관리 비상」이 걸렸다.또 일부 중견그룹들은 공사중인 건물의 감리를

    중앙일보

    1995.07.01 00:00

  • 도로.철도등 주요시설물 안전점검 의무화

    앞으로 도로(교량.터널 포함),철도,지하철,상.하수도,건축물등 주요 시설물에 대해서는 안전점검이 의무화되고 이를 위해 안전진단 전문기관과 시설물 유지관리업이 신설된다.건설교통부가

    중앙일보

    1995.04.20 00:00

  • 한강다리 완벽하게 고쳐라

    한강다리 보수공사는 과연 제대로 되고 있는가.성수대교 붕괴사고 이후 당국은 비로소 다리 관리와 보수에 소홀했음을 인정하고전면적인 보수공사를 약속했다.이에따라 올 1월부터 한강다리

    중앙일보

    1995.03.27 00:00

  • 건설교통부 업무보고 요지

    ◇사회간접자본의 확충=21세기에 우리 국토가 동북아 교역의 중심이 되도록 「국가기간교통망」을 체계적으로 구축한다. 우선 수도권의 신국제공항은 정보.교역등 다양한 지원시설을 갖춰 세

    중앙일보

    1995.01.11 00:00

  • 제28대 대한토목학회장에 선출된 韓守垠씨

    『성수대교 붕괴와 같은 대형참사를 막기 위해선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대한 인식이 지금처럼 느슨해서는 절대 안됩니다.』 최근제28대 대한토목학회장으로 선출된 한수은(韓守垠.59.기술사

    중앙일보

    1994.12.21 00:00

  • 전북도 교량.터널.아파트등 각종시설물중 17% 붕괴위험

    [全州=徐亨植기자]전북도내 교량.터널.아파트등 각종 시설물 가운데 17%가 붕괴등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북도가 최근 88개반 2백82명의 점검반을 편성해 도내 7백17

    중앙일보

    1994.12.01 00:00

  • 성수대교 붕괴 그후 한달-안전대책.전국파장

    21일로 성수대교 붕괴사고가 난지 꼭 한달.32명의 사망자를낸 이번 사고는 우리사회의 고질병인「부실」과 일선 행정의 난맥을 총체적으로 보여준 부끄러운 참사였지만 사회 각부문에「반성

    중앙일보

    1994.11.19 00:00

  • 경북도내 시.군 검사장비도 없이 교량 안전검사실시

    [大邱=洪權三기자]경북도내 시.군이 교량안전도 검사장비를 전혀 갖추지 않은 채 육안으로 안전검사를 하는데다 안전검사전문업체마저 없어 정밀점검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3일 경북도에

    중앙일보

    1994.11.03 00:00

  • 울산 주요교량6개 균열.파손으로 교량안전위협

    [蔚山〓黃善潤기자]울산지역 주요 교량 6개가 교각 균열과 파손등은 물론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대형 송유관과 수도관등각종 시설물까지 설치돼 있어 교량의 안전을 한층 더 위협하고

    중앙일보

    1994.11.01 00:00

  • 한남.마포.잠실대교 8~10차선 확장키로-서울시발표

    현재 6차선인 한남대교.마포대교가 10차선으로,잠실대교는 8차선으로 각각 확장되고 하중 DB-18인 영동대교의 보강공사를실시,DB-24의 다리로 만든다. 서울시는 1일 현재 6차선

    중앙일보

    1994.11.01 00:00

  • 선진국의 다리관리-안전문제 논란 美우드로 윌슨교

    『윌슨교 안전 10년 이후 장담못해.』 이달 초 미국 워싱턴포스트紙에 난 우드로 윌슨橋에 관한 기사제목이다.「내일」어떻게될 지 모르는 우리네 입장으로는 10년이라는 산술적인 차이

    중앙일보

    1994.10.30 00:00

  • 8.성산대교

    택시기사들이 한강다리중 가장 건너기 꺼려하는 다리가 성산대교다. 다리의 진동이 다른 다리보다 훨씬 심하기 때문이라는 게 기사들의 한결같은 얘기다. 이같은 지적이 단순한 느낌이 아니

    중앙일보

    1994.10.30 00:00

  • 6.마포대교

    마포대교의 안전이 긴급보수를 요할만큼 위협 받고 있다.70년5월 준공이후 누적된 구조물의 피로현상등으로 상판 콘크리트와 상판을 받치고 있는 거더(철제빔)곳곳에 균열 및 부식현상이

    중앙일보

    1994.10.28 00:00

  • 7.무리한 시공

    5백여만평의 거대한 아파트단지를 불과 5년만에 세운 비결(?)을 터득코자 분당.일산신도시를 방문한 외국인들은 두번 깜짝 놀란다. 첫번째는 자기나라에서는 최소한 20년은 걸릴듯한 인

    중앙일보

    1994.10.28 00:00

  • 대형공사 외국社감리 허용-당정 안전관리 특별법 제정키로

    앞으로 교량.터널등 주요시설물의 부실시공이 발견될 경우 기술자 뿐 아니라 업체.대표자까지 엄벌에 처하는 양벌(兩罰)규정이새로 만들어진다. 또 정부가 건설업체와 기술자의 개인별 카드

    중앙일보

    1994.10.25 00:00

  • 한강대교 손가락 들어갈정도 균열-안전진단팀 동행취재

    『콘크리트 상판 곳곳에 균열 현상이 일고있으며 거더(Girder.상판을 받쳐주는 교각과 교각사이에 설치된 철강구조물)와 상판을 연결해주는 볼트(bolt)가 떨어져나가 아예없거나 일

    중앙일보

    1994.10.25 00:00

  • 災難 관리기구 전면 개편착수

    정부는 성수대교 붕괴참사(慘事)를 계기로 인재(人災)를 포함한 재난(災難)관리체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키로 하고 관계법령과 재난관리기구에 대한 전면적인 개편에 착수키로 했다. 정부는

    중앙일보

    1994.10.24 00:00

  • 성수대교 사고조사위원장 張承弼 교수

    성수대교 붕괴현장에 대한 정밀진단을 실시한 대한토목학회 성수대교 사고조사위원장 서울대 장승필(張承弼.토목공학)교수는 정밀진단 직후 인터뷰에서『용접재 부분 부식등 복합적인 원인 때문

    중앙일보

    1994.10.24 00:00

  • 20년 안된 다리도 긴급점검-서울시 대책회의

    서울시는 24일 지난7월의 상판안전진단 대상에서 제외됐던 지은지 20년이하 된 한강.천호.반포.성산.동작.동호.올림픽대로등 7개 다리를 포함,한강다리 13개에 전면적인 안전진단을

    중앙일보

    1994.10.24 00:00

  • 성수대교 붕괴사고 수사 어느선까지...

    성수대교 붕괴사고에 대한,검찰의 수사가 서울시 고위직과 시공업체인 동아건설로 확대되고 있어 어느선까지 처벌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검찰은 이신영(李臣永)서울시도로국장을 소

    중앙일보

    1994.10.24 00:00

  • 다리붕괴 원인.문제-허약한다리 성수만이 아니다

    현재 전국적으로 약 1만2천개에 이르는 교량의 역사는 대략 1백여년을 거슬러 올라가 일제치하에서 최초의 건설이 이뤄졌고 시대흐름에 따라 많은 변천을 겪어왔다. 8.15해방이후 사회

    중앙일보

    1994.10.22 00:00

  • 2.한강다리 겉만 보수

    성수대교 대형참사는 서울시의 무성의한 안전검사및 보수공사와 시공업체의 부실시공이 만들어낸 전형적인 인재(人災)다. 서울시가 대한토목학회와 한국잠수협회에 의뢰해 해방후 최초로 한강교

    중앙일보

    1994.10.22 00:00

  • 예고된 사고 왜 못막았나

    이것이 선진국으로 발돋움한다는 한국(韓國)의 모습인가.개혁이란 도대체 무엇을 하자는 것인가.서울의 한 복판에 있는 대형 다리조차 마음놓고 건널 수 없어서야 어떻게 근대국가란 말조차

    중앙일보

    1994.10.21 00:00

  • 성수대교 붕괴사고 참사위험 추궁 외면한 人災

    이번에 대형참사가 발생한 한강다리 붕괴사고는 정기국회의 국정감사에서도 그 위험성이 경고된「예견된」사고였다. 건설위 소속 민주당 최재승(崔在昇.익산).제정구(諸廷坵.시흥군포).하근수

    중앙일보

    1994.10.2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