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415)군수보급(1)|지원작전(1)

    화력·기동력·통신은 현대 국지전의 승패를 판가름하는 3대요소라고 볼 수 있겠다. 병기·탄약 등의 화력과 수송·유류·정비 등의 기동력, 유무선의 통신은 모두가 군수보급기능에 속하는

    중앙일보

    1973.01.18 00:00

  • (413)|우방 참전 부대 (14)|콜롬비아·캐나다 군

    중남미의 「콜롬비아」와 북미의 「캐나다」는 유엔 참전 16개국 중 가장 늦게 군대를 보내왔지만 약 2년 동안 한국에서 계속 싸웠다. 「캐나다」는 공군과 해군을 50년7월30일부터

    중앙일보

    1973.01.10 00:00

  • (411)|우방 참전부대(12)|호주·「뉴질랜드」군

    육·해·공 3군을 모두 참전시킨 호주와 육·해군만 보낸 뉴질랜드는 서로 공동보조를 취하며 한국전 3년을 치렀다. 그것은 벨기에와 룩셈부르크의 관계처럼 양국도 당시 외교·군사·경제면

    중앙일보

    1973.01.04 00:00

  • (408)-(9)

    1개 소대로 구성된 「룩셈부르크」지원병은「벨기에」 지원병 대대 소속으로 편성, 파한 되어 한국전이 끝날 때까지 계속 행동을 함께 했다. 이것은 당시「룩셈부르크」와 「벨기에」가 외교

    중앙일보

    1972.12.20 00:00

  • (407)우방 참전부대(8)

    한국전을 지원한 우방참전국 중 「유럽」지역에서는 영국을 필두로 「네덜란드」·「프랑스」·「그리스」·백이의·「룩셈부르크」등 6개국이 군대를 파견, 한국전을 지원했다. 백이의는 7백명의

    중앙일보

    1972.12.18 00:00

  • (403)우방 참전부대(4)

    태국정부는 한국에서 전쟁이 일어나자 즉시 파병을 결정, 「아시아」우방으로서는 첫번째로, 「유엔」회원국으로서는 네번째로 빨리 한국에 출병했다. 「유엔」안전보장이사회가 「유엔」회원국

    중앙일보

    1972.12.08 00:00

  • (396)피어린 산과 언덕(20)

    (2) 휴전을 앞둔 중공군의 대공세가 시작되자 이승만 대통령은 도미유학을 떠나려던 사단장급의 국군지휘관들을 모두 전선으로 들려보내 전투를 지휘토록 명령했다. 당시 이 박사의 단독

    중앙일보

    1972.11.21 00:00

  • (395)피어린 산과 언덕(19)

    (1) 51년 하반부터 적의 진지 요한화와 휴전회담 진행을 위한 「유엔」군의 정치적 배려에서 본격적으로 전개된 고지쟁탈전은 53년 중공군의 7월 대공세로 그 막을 내리고 3년 동안

    중앙일보

    1972.11.18 00:00

  • (393)|피 어린 산과 언덕(18)|금성지구 전투

    사실상 전투력을 상실한 북한공산군을 대신해 전선의 주역으로 나선 중공군은 53년7월 금성과 화천지구의 한국군 제2군단 지역에 5개「군」의 병력을 투입, 집중포격을 앞세운 인해 파상

    중앙일보

    1972.11.15 00:00

  • (393)|피 어린 산과 언덕(17)|적근산 전투

    중공군은 휴전을 바로 눈앞에 두고 53년5월27일과 7월13일 두 차례에 걸쳐 화천 북방의 한국군 제2군단 지역과 금성·금화지구의 수도사단·제9사단지역에 대공세를 가해왔다. 이 같

    중앙일보

    1972.11.13 00:00

  • (392)|피어린 산과 언덕 (10)|베티 고지 전투

    공산군은 1953년7월 중순 휴전 협정 조인을 눈앞에 두고 요충 지점들을 확보키 위해 1백55「마일」전 전선에 걸쳐 아군 전초 진지들에 대하여 최후의 전략 전술적 대공세를 가해 왔

    중앙일보

    1972.11.10 00:00

  • (386)피 어린 산과 언덕(10)

    1952년 7월 한국을 방문한 영국 「로이드」국무상은 그의 귀국담에서 『한국전쟁의 현 전황은 전 전선에 견고한 진지를 구축하고 휴전회담을 틈타 전력을 보강한 중공군이 일대공세를 취

    중앙일보

    1972.10.23 00:00

  • 월남군이 노획한 중공제 탱크 인수

    【사이공=신상갑특파원】주월 한국군은 17일 공산군 대공세 초기 월남 군이 노획한 중공제 T-59전차 1회와 중공제 PT63장갑차를 월남 군으로부터 인수받았다. 특히 T59전차는 현

    중앙일보

    1972.10.18 00:00

  • 파리협상 진전 따라「에스컬레이트」되는 북 폭과 월맹군 공세

    【사이공=신상갑 특파원】미국 대통령선거가 11월7일로 박두하자 월남 수도「사이공」에 대한 공산군의 압력이 날로 가중하고 있는 징조가 현저해졌다. 지난 3월30일에 개시된 월맹군의

    중앙일보

    1972.10.14 00:00

  • 월남전 또 격화

    【사이공 7일 AP동화】5개월 반째로 접어든 공산군의 춘계 대공세는 7일 아침 월맹군 약5개 대대와 「베트콩」주력부대가 소제 「탱크」를 앞세워 「다낭」남쪽의 「티엔푹」시를 대규모

    중앙일보

    1972.09.08 00:00

  • 신상갑 특파원 월남 군사평론가 「트루옹·손」씨와 단독회견

    월남정부군에 의한 「쾅트리」탈환작전이 거의 실패한 것과 때를 같이해 「마틴」평화협상이 미국대통령 선거전의 기복을 반영하면서 미묘한 부심을 반복하고 있다. 「키신거」·「례·둑·토」간

    중앙일보

    1972.08.29 00:00

  • 「파리」협상의 재개

    「닉슨」 미 대통령은 29일 월맹측과 오는 7월 13일부터 「파리」평화회담을 재개하는데 동의했음을 발표하고 월맹이 실질적인 협상에 응하지 않는 한 기뢰부설을 계속하고 월남에서의 연

    중앙일보

    1972.07.01 00:00

  • 공군, 대공세

    【사이공22일UPI급전동양】수십대의 소제 탱크와 130㎜포의 지원을 받은 공산군 1개 연대병력이 22일 후에 북쪽 32㎞ 미찬강을 도하하여 지나 5월1일 「쾅트리」성도 함락 이후

    중앙일보

    1972.06.23 00:00

  • 공산군 대공세로 월 평정 계획 차질

    【워싱턴 21일 DPA합동】월맹군이 월보에서 대공세를 벌인 이후 처음으로 미국 정부는 21일 월남에서의 평정 계획이 차질을 겪고 있음을 시인했다.

    중앙일보

    1972.06.22 00:00

  • 월남전이래 월맹에 대한 최대의 압력|랑치 수력발전소 폭파의 의의

    월맹연안 봉쇄와 함께 월맹 안의 모든 보급망을 폭격하겠다고 한「닉슨」미대통령의 5월9일 결정은「존슨」대통령 때보다 훨씬 확대된 규모의 북 폭을 불가피하게 했다. 그 이유는 과거「맥

    중앙일보

    1972.06.13 00:00

  • (331)「아이크」집권과 내한(7)

    1953년1월21일에 「아이젠하워」원수가 백악관의 새 주인이 됐을 때 한국전쟁은 2년 6개월26일을 끌고있었다. 공화당은 대통령선거에서 한국전쟁의 조속한 종결을 공약으로 내걸고 압

    중앙일보

    1972.05.26 00:00

  • 공산군대공세

    【사이공 23일 로이터동화】 남침공세의 고삐를 좀처럼 늦추지 않고 있는 공산군은 대공세55일째를 맞는 23일 북부 중부 및 남부전선에서 새로운 공격을 개시했다. 월맹군보병과 「탱크

    중앙일보

    1972.05.24 00:00

  • 바스토뉴 기지 탈환

    【사이공 15일 AP동화】월남군은 15일 월맹군의 춘계 대공세 47일째를 맞아 지난 18일 동안 적 수중에 있던 월남 북부 「후에」 서방 20km 「바스트뉴」 기지를 되찾는 등 제

    중앙일보

    1972.05.16 00:00

  • (324)|하늘의 전쟁(15)|제한된 임무 수행

    태평양전쟁에서 일본을 패배시키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던 미 극동공군은 한국전쟁에서도 『제한된 사명』을 훌륭히 완수하였다. 1944년 6월 15일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창설된 미 극동

    중앙일보

    1972.05.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