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억이상 재산증가 71명-1급이상 공직자 변동 공개

    대통령과 국회의원,장.차관을 포함한 입법.사법.행정부의 1급이상 고위공직자 1천76명의 재산변동내용이 29일 관보와 공보를 통해 일제히 공개됐다. 입법부 3백22명,사법부 1백5명

    중앙일보

    1996.03.01 00:00

  • 경기도 공직자 재산공개 149명 불성실 신고

    지난 9월에 자진 신고된 경기도내 공직자재산공개 대상자와 신고대상자(비공개)1,140명중 149명이 보유재산을 누락하는등불성실하게 신고해 소명자료 제출등 보완요구를 받은 것으로 나

    중앙일보

    1995.12.09 00:00

  • 臺灣 고위공직자 재산 강제로 信託

    [臺北=劉光鍾특파원]총통과 총리를 비롯한 대만의 5백여 고위공직자들은 공직자재산신고법에 관한 국회 의결에 따라 2일부터 재산을 강제로 신탁관리에 맡겨야 한다. 지난달 30일 고위공

    중앙일보

    1995.07.02 00:00

  • 선거후보자들 재산신고 허위드러나면 등록무효

    6월의 4대 지방선거등 앞으로의 모든 공직선거에서 후보가 재산을 등록할때 고의누락 또는 허위신고했다가 이의제기를 당할 경우 이에 대한 소명자료를 해당 선관위에 반드시 제출해야 하고

    중앙일보

    1995.04.09 00:00

  • 재산허위.누락신고 사전봉쇄-선관위,숨긴후보 등록무효화배경

    중앙선관위(위원장 金碩洙대법관)가 4대 지방선거 입후보자의 불성실한 재산신고에 대해 칼을 빼들었다. 통합선거법 49조에 따라 후보의 재산등록이 의무화되는데 따른후속조치로 소명자료

    중앙일보

    1995.04.09 00:00

  • 대구시 고위공직자 재산변동 상황

    [大邱=金永洙기자]대구시 고위공직자중 16명은 지난 1년 사이 재산이 늘었으나 11명은 줄었고,2명은 변동이 없는 것으로나타났다. 또 경북도는 1억원이상 재산이 는 공직자만 군수

    중앙일보

    1995.02.28 00:00

  • 고위공직자 재산변동 내역

    27일 일제히 공개된 입법.사법.행정부 고위공직자 1천63명에 대한 재산변동사항을 보면 공직자들의 재산 증가 사유가 대개주식매매나 부동산매매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부동산.주식

    중앙일보

    1995.02.27 00:00

  • 1억이상 재산증가 63명-고위공직자 재산변동사항 공개

    김영삼(金泳三)대통령을 비롯한 입법(3백30명).사법(1백4명).행정부(6백29명)고위공직자 1천63명에 대한 재산변동사항이 27일 관보.공보등을 통해 일제히 공개됐다. 93년 공

    중앙일보

    1995.02.27 00:00

  • 부동산실명제-재산공개자 반응/違憲소지 없나/관련입법.판례

    부동산 실명제 시행 발표가 정치권과 관가(官街)에도 충격을 몰고 왔다.재산공개 파동과 금융실명제 전격실시때와 유사한 파동이 예상된다.자신의 부동산을 타인 명의로 위장 보유하며 재산

    중앙일보

    1995.01.07 00:00

  • 공무원 재산등록 범위확대-외국사례

    미국(美國).일본(日本)등 선진국들도 재산등록이나 공개제도를통해 공직자들의 윤리적 투명성을 관리하고 있다. 미국의 공직자들은 재산문제에 관한한 옛소련(蘇聯)시대의 비밀경찰제도 이상

    중앙일보

    1994.10.16 00:00

  • 고위공무원 보유 부동산 관리신탁신청 全無

    올들어 정부가 고위공무원들에게 부동산관리신탁에 가입토록 적극권유하고 있지만 8개월 가깝도록 단 한건의 신탁의뢰도 들어오지않아 이 제도의 실효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중앙일보

    1994.08.22 00:00

  • 역시 땅부자가 큰폭 증식/공직자 재산변동 내용을 보면…

    ◎“월급·이자모아 수천만원” 신고 많아/세금·생계비등 지출로 감소 경우도 지난해 여름 공개됐던 국회의원·판사·고위정부관리 1천1백여명의 재산이 7개월만에 얼마나 달라졌는지가 28일

    중앙일보

    1994.02.28 00:00

  • 공직자 재산/1억이상 증가 18명/김 대통령 4억여원 늘어

    ◎정몽준의원 30억 감소… 가장 큰폭/천1백43명 변동내용 공개 지난해 9월 재산이 공개된 고위공직자 1천1백43명의 재산변동 내용이 28일 관보·국회공보 등을 통해 공개됐다. 공

    중앙일보

    1994.02.28 00:00

  • 1급이상 22명 재산공개/작년 12월 입각각료 5명 포함

    정부공직자윤리위(위원장 박영식)는 18일 지난해 12·21개각과 후속인사로 새로 재산공개 대상자가 된 1급 이상 고위공직자 22명의 재산신고내용을 관보를 통해 공개했다. ◇이영덕

    중앙일보

    1994.02.18 00:00

  • 지방고위직 74명 사정-재산 말썽 총173명 징계

    내무부는 7일 지방공직자 재산등록과 관련,누락.축소신고나 부동산투기등 물의와 관련된 시장.군수급 68명을 포함해 최종 사정대상자는 모두 1백73명이라고 발표했다. 내무부는 이들 가

    중앙일보

    1993.12.08 00:00

  • 공직자 재산실사/「007작전」 방불

    ◎의원 부동산/수차례 신분확인후 해명자료 배포/금융자산/140명 대상 올라 내달말 가야 “윤곽” 페리호 침몰사고·러시아 핵쓰레기 동해 투기 등 굵직한 현안과 국정감사에 가려 크게

    중앙일보

    1993.10.22 00:00

  • 대만도 재산축소신고 파문-공직자 90명 공개..정치문제화

    리덩후이(李登輝)총통과 롄잔(連戰)행정원장등 90명에 달하는臺灣 고위공직자의 재산내용이「공직자재산신고법」(일명 陽光법안)에 따라 지난 9일 일반에 공개되자 재산축소신고 의혹이 제기

    중앙일보

    1993.10.19 00:00

  • 경인지방 국세청장/재산관련 사표수리

    이년희 경인지방국세청장(56)이 고위공직자 재산공개와 관련,5일 사표를 제출해 수리됐다. 국세청 관계자는 『지난달 재산공개때 국세청 재산공개 대상자중 가장 많은 22억8천8백47만

    중앙일보

    1993.10.06 00:00

  • 문책범위/“예상보다 크게줄듯/재산말썽 공직자 어떻게 되나

    ◎당초 “대폭”서 고작 10명선 거론/“어떻게 동료를…” 「칼질」 주저주저 재산 공개에 따른 문제공직자 처리가 이번주 안에 매듭지어진다. 그러나 문제공직자에 대한 처벌폭과 강도는

    중앙일보

    1993.09.19 00:00

  • “재산문제”공직자 100명선/사정당국/부처에 실사통보…이달중 조치

    ◎50여명 징계 불가피할듯/대상 아닌 사람엔 “동요말라” 통지 재산공개한 행정부 고위공직자중 문제가 있어 실사를 받고있는 인사는 모두 1백명 안팎인 것으로 알려졌다. 행정부쪽 재산

    중앙일보

    1993.09.16 00:00

  • 공직기강해이.악성루머.투서등 재산공개 후유증

    고위공직자 재산공개로 金泳三정부의 「윗물맑기운동」이 새 전기를 맞고 있으나 반대로 재산공개가 공직사회의 기강을 해이하게 하고 악성루머를 양산하는등 부작용도 낳고 있다. 특히 일부

    중앙일보

    1993.09.15 00:00

  • 재산공개고위공직자 증권계좌 보유 30%선

    ○…이번에 재산을 공개한 고위공직자(정치인제외)들이 계좌를 가장 많이 개설한 증권사는 大信증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입법부를 제외한 8백31명의 공직자들이 자신 명의의 계좌로 신고한

    중앙일보

    1993.09.13 00:00

  • 윤리위,「문제인사」처리 “고심”/“기준도 없이 알아서 하라니…”

    ◎“권한에 한계”… 계획 못세운채 관망/정치권도 윤리위 핑계대고 눈치만 공직자 숙정바람은 재산많은 고위공직자들 뿐 아니라 사정을 담당한 실무자들도 괴롭히고 있다. 국민들의 기대는

    중앙일보

    1993.09.13 00:00

  • 1급이상 월내 조사 완료/불법 드러나면 형사고발 방침

    재산공개로 구설에 올랐던 김덕주 대법원장이 10일 전격 자진사퇴함에 따라 공직사회의 대폭 물갈이가 예상보다 훨씬 빨리 이루어질 전망이다. 정부는 사정작업과 병행해 각 부처 장관이

    중앙일보

    1993.09.1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