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경남도내 유명 자연생태계 관찰지역.낚시터등 쓰레기로 오염

    주남저수지.우포늪등 경남도내서 이름이 널리 알려진 자연생태계관찰지역과 유명 낚시터등이 쓰레기로 뒤덮이고 있다. 여름방학을 맞아 자연관찰 하러온 학생들과 낚시꾼들이 쓰레기를마구 버리

    중앙일보

    1996.08.03 00:00

  • 대전.전주간 식수분쟁 대비 근거규정 마련 시급

    대전과 전주간에도 식수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에따라 전주권의 생활.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99년 완공목표로 추진중인 용담댐 건설에 대전시가 적극 개입,물분쟁

    중앙일보

    1996.06.27 00:00

  • 환경단체 '초록빛깔 사람들'의 자연사랑

    천혜의 자연경관을 가진 남해안 거제도. 종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는이곳이지만 도로가 뚫리고 조선소.공장이 곳곳에 들어서면서 숲이줄어들고 바다가 오염

    중앙일보

    1996.04.01 00:00

  • 시프린스號 오염사고 한달-해안 기름찌꺼기 60% 제거

    지난달 23일 태풍「페이」를 피하다 좌초한 시 프린스號에서 벙커C유 유출사고가 발생한지 꼭 한달이 지났다.기관연료용 저장탱크에서 새나온 벙커C유 7백여은 천혜의 황금어장인 여천군남

    중앙일보

    1995.08.23 00:00

  • 철새도래지 아파트工事 군,중지令 무시 강행물의

    세계적인 철새도래지 경남창원시동읍 주남저수지 인근에 고층 군인아파트 공사가 공사중지명령에도 불구하고 강행되고 있어 생태계피해를 우려하는 이 지역 환경단체와 전문가들이 반발하고 있다

    중앙일보

    1995.08.06 00:00

  • 16.끝 시리즈를 맺으며

    리나라는 1년중 여름철에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고 있으나 단시간에 강이나 하천으로 흘러가는 이른바 유하(流河)현상으로 항상물기근을 겪고 있으며 치수(治水)와 이수(利水)면에서도 물관

    중앙일보

    1994.11.29 00:00

  • 15.河口부근

    바닷물의 간.만조를 이용,수위를 조절하는 낙동강 하구둑-. 이 하구둑은 바다로 흘러드는 낙동강물을 막아 부산시와 경남지역에 안정적인 생활용수와 농.공업용수를 공급하고 수자원을 효율

    중앙일보

    1994.11.26 00:00

  • 14.하구일대 하천들

    찰대본산 통도사(佛刹大本山 通度寺)가 깊숙이 들어앉은 영취산계곡에서 발원,바위틈을 비집고 수정같이 맑은 내를 이루면서 26.8㎞를 굽이쳐 흐르는 물줄기는 경남양산군 물금면 호포리에

    중앙일보

    1994.11.24 00:00

  • 11.의령.함안

    조선조 선조(宣祖)25년(1592년)임진왜란 당시 현고정(懸鼓亭)에 앉아 지필묵(紙筆墨)을 벗삼던 의령의 한 선비가 고을이 왜병들의 침략을 받아 순식간에 불바다로 변하자 분연히 일

    중앙일보

    1994.11.12 00:00

  • 10.고령.합천-전문가 의견

    마산.창원지역의 유일한 상수원인 낙동강 하류의 오염은 이미 한계점을 넘어섰다고 해도 결코 지나친 말이 아니다. 이같은 오염의 극한 상황은 물론 인위적인데서 비롯됐고 상.중류지역인

    중앙일보

    1994.11.05 00:00

  • 해수욕장주변 공유수면 매립에 주민 반발-양산

    [梁山]양산군이 군내 유일의 일광해수욕장인근 이천리 공유수면7만8천여평을 매립해 각종 도시계획시설지구로 지정한다는「機張도시계획 기본안」을 경남도 도시계획위원회에 상정한 것으로 알려

    중앙일보

    1994.08.08 00:00

  • 오염된 낙동강 생태계 급속 파괴-악성 식물성플랑크톤 급증

    낙동강은 상수원문제뿐 아니라 자연 생태계가 급속히 파괴되고 있어 경종을 울리고 있다.수질오염악화는 악성 식물성 플랑크톤 증가→부영영화→물고기감소→철새감소등의 악순환을 가져와 큰 문

    중앙일보

    1994.01.21 00:00

  • “청정구역 어디갔나” 기름띠 범벅/남해 벙커C유 유출사고 현장

    ◎천3백만평 오염… 서울 여의도 14배/복구엄두안나 일손놓은채 한숨만/피해액 집계안돼… 하루 3천평 청소 고작 『바다가 이 지경이 됐으니 살길이 막막합니다.』 기름 오염으로 아파팔

    중앙일보

    1993.10.05 00:00

  • 남해 벙커C유 유출사고 현장-청정구역 기름띠 범벅

    『바다가 이 지경이 됐으니 살길이 막막합니다.』 기름 오염으로 아스팔트 바닥처럼 시커멓게 변해버린 바다를 바라보면서 어민들은 탄식만 거듭할 뿐이다.지난달 27일 전남 광양만에서 발

    중앙일보

    1993.10.05 00:00

  • 산청발전소건설 환경과 조화 이뤄야|화덕헌

    한국전력이 경남 산청군에 건설하려는 양수식 발전소가 뜻 있는 시민과 환경 단체들의 반대에 직면해 있다. 남한 최대의 생태계 보존지구인 지리산 국립공원에 댐이 들어서는 것은 필연적으

    중앙일보

    1993.05.03 00:00

  • 한국은 “들쥐왕국”/농촌지역만 9억6천만마리 추산

    ◎뱀·매 등 천적 급격히 줄어 크게 번식/한해 서울시민 480일분 곡식 먹어 한국은 「들쥐왕국」인가. 자연 생태계 파괴로 최근 수년간 농촌지역에서 들쥐가 엄청나게 늘면서 그 수가

    중앙일보

    1992.05.20 00:00

  • 원전 건설|가는 곳마다 몸살 "설 땅이 없다"|울진

    『왜 하필이면 우리 지역이냐.』 원전입지 대상지로 확정된 경북 울진, 강원도 고성·삼척 주민들은 시가지 곳곳에「원전반대」플래카드를 내걸고「건설반대 추진위」를 구성, 시위·진정 등

    중앙일보

    1991.07.24 00:00

  • 호랑이/원앙이사촌/서호납줄갱이/파초일엽/동식물 4종 멸종

    ◎표범등 25종도 곧 사라져/미·일 도입 양식어 팔당호등 생태계 파괴/환경처 생태계 조사 국내 서식·자생하는 동·식물 가운데 호랑이를 비롯해 어류인 서호납줄갱이,조류인 원앙이사촌,

    중앙일보

    1991.03.21 00:00

  • 중병걸린 상수원(환경오염 위험수위:7)

    ◎죽어가는 5대강/상류도 만신창이/축산폐수ㆍ양어장 찌꺼기등 넘쳐/백담계곡 물도 10㎞ 흐르면 “오염” 4천만의 식수원인 5대강이 죽어가고 있다. 상류까지 이미 흐려져 썩어가고 있다

    중앙일보

    1990.07.24 00:00

  • 산업폐기물(환경오염 위험수위:5)

    ◎산ㆍ하천 곳곳에 「죽음의 쓰레기」/화공약품ㆍ중금속 불법폐기 일쑤/체내 축적되면 치명적 질병 「죽음의 쓰레기」로 불리는 산업폐기물이 하천ㆍ야산ㆍ바다 등에 무분별하게 버려지고 있어

    중앙일보

    1990.07.10 00:00

  • 핵 쓰레기 "우리마을엔 못 들어온다"

    『「죽음의 재」로 알려진 핵폐기물 처리장이 우리고장에 들어선다는 것은 곧 우리 고장의 종말을 예고하는 것이 아닙니까.』『경북 동해안에 핵폐기물 처리장이 설치된다』는 소식이 2월말에

    중앙일보

    1989.03.24 00:00

  • 「농민시위」대책 공방

    국회는 대정부 질문 3일째인 16일 강영훈 국무총리와 조순 부총리 및 경제관계 장관들을 출석시켜 여의도 의사당 앞 농민시위 사태 등에 대한 정부대책을 들었다. 이날 질문에는 강금식

    중앙일보

    1989.02.16 00:00

  • 생태·지질구조

    백두산은 웅장한 산세와 많은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영산으로 자연생태면에서도 큰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927년 육당 최남선 선생이 쓴 『백두산근삼기』의 구절처럼 일망무제의 빽빽한

    중앙일보

    1985.03.04 00:00

  • 소나무 진달래 공단 주변서 사라진다

    공업단지주변의 산과 들에서 소나무와 진달래가 심한 공해로 점점 사라져가고 있으며 그 자리엔 칡과 싸리나무등 하등식물이 들어서 자리바꿈을 하고있다. 소나무와 진달래의 피해반경은 공단

    중앙일보

    1984.04.2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