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841)|내가 아는 박헌영(160)|박갑동

    김일성을 수반으로 하는 이른바 북한노동당의 무력통일기도는 한국국민의 완강한 항전과 「유엔」군의 개입에 의하여 완전히 파탄되고 말았다. 한국국민은 기습을 당하여 한때 수도 서울시를

    중앙일보

    1973.09.06 00:00

  • (840)|내가 아는 박헌영(159)|박갑동

    나는 북으로 강계를 향해 무거운 발을 옮기지 않을 수 없었다. 강계에 중앙당이 임시로 피난 가 있을 것이라고 추측하였기 때문이다. 북한정전과 북한군대는 완전히 붕괴되어 버리고 북

    중앙일보

    1973.09.05 00:00

  • (838)|내가 아는 박헌영(157)|박갑동

    김일성은 초조하기 그지없었다. 온다 온다는 중공의 원병은 오지 않고「유엔」군은 38선을 넘어 질풍과 같이 쳐들어오는 것이었다. 모택동은 김일성에게『기본방침은 구원병을 파견하기로

    중앙일보

    1973.09.03 00:00

  • (830)제31화 내가 아는 박헌영(149)|박갑동

    나는 6월26일「라디오」방송에 의하여「유엔」이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군의 공격을 침략이라고 인정하며 38선 이북으로 철퇴를 요구하는 결의를 한 것을 알았다. 그리고 27일에는「유엔

    중앙일보

    1973.08.24 00:00

  • (828)제31화 내가 아는 박헌영(146)|박갑동

    전회에서도 잠깐 얘기했지만 평양의 김일성은 4월의 정치위원회의 결정에 의하여 전쟁준비를 착착 준비하고 있었다. 정치위원회 결정의 제1의 조항인『당 기관·정권기관·민청·직업동맹(노

    중앙일보

    1973.08.21 00:00

  • (820)|제31화 내가 아는 박헌영(138)-제자 박갑동

    박헌영에게 내기 위해 남노당 지하당에서 작성한 보고서를 김삼룡에게 전달하기로 한 날짜는 50년 3월27일 밤이었다. 정태식과 나는 27일 저녁밥을 먹고 「아지트」인 채항석의 집을

    중앙일보

    1973.08.11 00:00

  • (817)내가 아는 박헌영(134)|박갑동(필자 박갑동)

    김삼룡이 정태식에게 시달한 지시는 「남로당 지하당의 남북통일에 관한 정책입안의건」이었다. 기한은 3윌25일까지였다. 남로당지하당의 남북통일안을 평양의 박헌영에게 보내는 것은 3월

    중앙일보

    1973.08.08 00:00

  • (816)내가 아는 박헌영(134)|박갑동(제자 박갑동)

    1950년1월2일 밤 이날 밤은 나에게 도저히 잊을 수 없는 날의 밤이었다. 그것은 내가 수사기관에 포위되었다가 무사히 벗어났다는 기억에서만은 아니다. 그것보다 훨씬 더 중대한

    중앙일보

    1973.08.07 00:00

  • (812)제31화 내가 아는 박헌영

    내가 기관지부 이론진「블록」통제지도 부책이 된 지 얼마 안 되어서 중앙선부부도 맡게되어 나의 일은 불어났다. 매일 기관지부·선전부·이론진의 각 책임자 그리고 각부의 중요간부들과

    중앙일보

    1973.08.02 00:00

  • (810)|내가 아는 박헌영-정태식의 권유

    정태식도 나를 반가와 하였으며 나도 반가웠다. 말끔하게 면도를 한 갸름한 얼굴이 좋은 새 양복을 입어서 그런지 싱싱해 보였다. 약간 오시랑 머리에 웃으면 자디잔 옥니가 보이는 것이

    중앙일보

    1973.07.31 00:00

  • (808)|내가 아는 박헌영(126)-이론진 「아지트」

    1949년 봄에 「노력 인민」의 제 일면을 당당하고있던 김장한이 「이론진」이 부책으로 발탁되어 「노력 인민」의 편집국을 떠나게 되었다. 그 당시 당 중앙최고지도부의 편성은 최고책임

    중앙일보

    1973.07.28 00:00

  • (807)|내가 아는 박헌영(125)-강·표 등 북한 도주

    1949년5월5일 강원도 38선 접경지대에 주둔하고 있던 대대장 강태무와 표무원등 2명이 일부대원을 속여 인솔하고 38선 이북으로 도주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도 세간 일반에

    중앙일보

    1973.07.27 00:00

  • (806)|내가 아는 박헌영(124)-여순사건의 저변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된지 두달 남짓한 48년10월19일 밤 여수주둔 제14연대가 돌연 반란을 일으켰다. 정말 이것은 돌발사건이었다. 정부측에서도 몰랐고 남로당 측서도 몰랐다. 그해

    중앙일보

    1973.07.26 00:00

  • (800)제31화 내가 아는 박헌영(118)

    미·소 공위가 깨어지고 48년 1월초 한국에 온「유엔」이 임시 조선위원단이 남한만의 단독선거실시를 결정하자 공산당은 단독선거를 방해할 목적으로 곳곳에서 폭동을 일으켰다. 남로당은

    중앙일보

    1973.07.19 00:00

  • (796)|내가 아는 박헌영 (114)|박갑동

    폭동 개시일 이틀을 앞두고 내려진 중앙당의 「폭동 행동 지령 4항」은 당초 계획을 일부 수정한 것으로 ▲8월14일 하오 9시를 기해 일제히 시위 운동을 벌일 것 ▲행동 개시령에

    중앙일보

    1973.07.14 00:00

  • (794)|내가 아는 박헌영-선전과 선동

    1947년5월21일에 재개되어 10월18일 제62차 본회의까지 진행된 미·소 공위에 대해 북한은 『공위의 사업은 미국의 팽창정책과 남한 반동파들의 매국적 파괴음모로 완전히 파탄되었

    중앙일보

    1973.07.09 00:00

  • (790)|내가 아는 박헌영(108)|박갑동

    박헌영이 황해도 해주에서 서울의 당 지도부에 독자적인 통솔권을 행사하지 못하고 허송세월 할 즈음 서울의 당내에서는 남로당의 영도권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즉 남로당을 지도하는 자

    중앙일보

    1973.07.04 00:00

  • (789)|내가 아는 박헌영(107)

    박헌영에 대해 내린 미군정의 체포령은 그 자신에게는 3가지 의미에서 충격적이었고 이 타격은 결과적으로 공산당과 박헌영에게는 치명적인 것이 된다. 3가지 면에서 타격을 주었다는 것

    중앙일보

    1973.07.03 00:00

  • (788)제31화 내가 아는 박헌영(106)|박갑동

    공산당 간부들에 대한 미군정의 체포령이 내리기 하루 전날 김수임으로부터 미리 귀띔을 받은 박헌영 자신은 그날로 영구차를 타고 평양으로 도망쳤으나 이강국은 다른 방법을 택했다. 이

    중앙일보

    1973.07.02 00:00

  • 남기고싶은 이야기들(717)|제자 박갑동|제31화 내가아는 박헌영

    국내에서 탈출, 용하게 소련으로 도망친 박혜영은「블라디보스트크」에 머무르마가 처 주세죽과 합께 「모스크바」에 갔다.「모스크바」에서 박헌영은 동방노력자공산대학에 들어가 2년간 공부

    중앙일보

    1973.04.03 00:00

  • (702) 내가아는 박헌영(20) 박갑동

    신문기자시대 동아일보 기자로 있던 박헌영은 1924년 9월께 조선일보로 일자리를 옮겼다. 그무렵 송병준이 경영하던 조선일보는 경영난에 빠져 동아 영업국장으로 있던 홍증식이 신석우의

    중앙일보

    1973.03.07 00:00

  • (697) 내가하는 박헌영(15) 박갑동

    첫국내잡인 극동인민 대표회의에 참석한 박헌영은 귀로에 「이르쿠츠크」에 들러 1주일 가량 머물렸다. 물론 「모스크바」에 갈때와 마찬가지로 같은 공책원인 김태연(단야) 임원근과 셋이서

    중앙일보

    1973.03.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