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호주 속의 한국인

    호주는 우리 남북한의 35배나 되는 넓은 면적에 비해 인구는 1천3백만명이 못된다. 아직 2백년이 안된 짧은 개척의 역사이외에 유색인종의 유입을 철저하게 막아온 호주의 이른바 「백

    중앙일보

    1973.05.22 00:00

  • (413)|우방 참전 부대 (14)|콜롬비아·캐나다 군

    중남미의 「콜롬비아」와 북미의 「캐나다」는 유엔 참전 16개국 중 가장 늦게 군대를 보내왔지만 약 2년 동안 한국에서 계속 싸웠다. 「캐나다」는 공군과 해군을 50년7월30일부터

    중앙일보

    1973.01.10 00:00

  • (411)|우방 참전부대(12)|호주·「뉴질랜드」군

    육·해·공 3군을 모두 참전시킨 호주와 육·해군만 보낸 뉴질랜드는 서로 공동보조를 취하며 한국전 3년을 치렀다. 그것은 벨기에와 룩셈부르크의 관계처럼 양국도 당시 외교·군사·경제면

    중앙일보

    1973.01.04 00:00

  • (404)|우방참전부대⑤|이디오피아 황제근위대

    「이디오피아」정부는 한국전이 일어난 다음해인 51년5월7일 황제 근위대의 일부 병력을 1개 대대로 편성, 한국에 파병했다. 한국참전 16개국 중 정예를 자랑하는 황제 근위대를 참전

    중앙일보

    1972.12.11 00:00

  • 팔당유적지서 발굴된 최고의 철제농기구 한국 농경사 연구에 큰 자료

    서울대 팔당수몰지구 유적조사반은 18일 2주일간의 발굴·조사에서 한국의 초기철기시대 철제농구를 발굴했다. BC 1세기의 것으로 보이는 철제 호미날과 철도끼 4점 등 철제농구들은 지

    중앙일보

    1972.08.21 00:00

  • 호주·뉴질랜드 군 6·25 참전 기념식

    주한 호주 대사관은 호주·「뉴질랜드」 연합군이 6·25 사변 때 경기도 가평 전투에 참전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호주·「뉴질랜드」통합 군단 창설일(ANEAC 기념일)인 25일 상오

    중앙일보

    1972.04.25 00:00

  • (58)「6. 25」20주.... 3천여 증인 회견. 내외 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한국 전쟁 3년|제2본영...수원(5)|재편과 지연작전(하)

    한강 남안에서 벌인 국군의 지연작전이 열세한 병력과 장비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성과를 거둔 것은 몇 단위 부대가 용감히 싸웠기 때문이었다. 사실 낙오병들로 재편된 혼성부대들은 특출한

    중앙일보

    1970.08.12 00:00

  • 송파서 하나 발견

    속보=지난27일 한·미 합동 전투기 화력시범 훈련 중 F5A「제트」기가 연료부족으로 기체중량을 줄이기 위해 투하된 「로키트」탄 4개 가운데 1개(19발들이)가 29일 상오 10시

    중앙일보

    1965.10.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