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제주는 거대한 군함도” 제주서도 일제 강제 노역 다시 거론

    “제주는 거대한 군함도” 제주서도 일제 강제 노역 다시 거론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알뜨르의 모습. 일제 군비행기를 놔두는 격납고 시설이 보인다. 오른쪽은 '가마오름 동굴진지' 강제노역 전시물[연합뉴스]일제의 강제노역을 다룬 영화 ‘군함도’가

    중앙일보

    2017.08.14 09:16

  • [TONG] 제주의 아픔을 평화의 현장으로 ② 제주평화박물관

    [TONG] 제주의 아픔을 평화의 현장으로 ② 제주평화박물관

     2. 제주평화박물관을 찾아가다 제주평화박물관은 제주시 한경면, 가마오름에 있다. 가마오름에는 일제강점기에 일본군이 주둔했던 약 2km에 달하는 땅굴 진지가 있다. 태평양전쟁 말기

    TONG

    2017.04.29 17:00

  • 강제노역하다 눈 먼 아버지의 한, 아들의 역사 혼을 깨우다

    강제노역하다 눈 먼 아버지의 한, 아들의 역사 혼을 깨우다

    “아들아, 내가 살았던 세상은 컴컴하고 음습한 땅굴 요새였다. 일제는 태평양전쟁 때 우리 제주도를 저들의 군사기지로 만들었단다. 일본군에게 끌려간 나는 두더지처럼 밤낮 땅굴을 팠

    중앙선데이

    2011.06.19 00:03

  • "제주에 일제 진지 344개"

    "제주에 일제 진지 344개"

    ▶ 북제주군 한경면 청수리 가마오름 진지동굴 외부 출입구 전경. 일제하 일본군이 제주에 구축한 인공동굴 등 각종 진지가 344곳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제주도동굴연구소 손인석(

    중앙일보

    2004.08.02 20:39

  • 일본군 진지에 평화박물관

    일제강점기하 일본군 주둔지인 북제주군 '가마오름' 일대에 박물관이 조성돼 29일 개관을 앞두고 있다. 22일 제주도에 따르면 민간사업자인 ㈜가마오름(대표 이영근)이 북제주군 한경면

    중앙일보

    2004.02.22 20:28

  • "제주도는 일본군 전략요충지"

    국토 최남단 마라도가 한걸음에 닿을 듯 보이는 해발 89m의 화산. 3년여전 개발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던 제주도 남제주군 대정읍 송악산은 '제주 절경의 극치'라는 찬사를 받고 있지만

    중앙일보

    2003.06.17 20:44

  • 충남·북지역, 방치된 폐갱도·터널 활용 방안 찾아

    충남·북지역에 그동안 버려져 있던 폐광 갱도·터널이 농산물 저장시설 등으로 본격적으로 개발된다. 또 제주도 곳곳에 산재한 일제시대의 진지동굴들을 관광지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중앙일보

    2001.02.2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