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IPv6 변환기술 위킹그룹 초안 지정

중앙일보

입력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개발한 IPv4/IPv6 변환기술이 인터넷국제표준화기구인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 표준초안으로 제출, 워킹그룹 드래프트(Working Group Draft) 문서로 선정됐다.

ETRI 차세대인터넷표준연구팀(팀장 김용진)은 최근 영국에서 열린 IETF회의에서 ETRI가 제안한 ''BIA를 이용한 Dual Stack Host기술''과 ''Dual Stack 변환메커니즘(DSTM) 확장기술''에 기반한 표준초안 2건이 워킹그룹의 드래프트 문서로 채택됐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변환기술들은 앞으로 1, 2차례의 공식회의를 통해 약간의 수정작업을 거친후 내년 상반기께 인터넷 국제표준 RFC(Request For Comment)로 공식채택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따라 ETRI는 국내에서는 최초로 IETF 워킹그룹 작업을 통한 RFC를 얻어낼 것이 확실하다고 덧붙였다. RFC는 실제 인터넷상에서 뿐만 아니라 업체 및 시장 등 인터넷 전분야에서 실질적인 표준으로 인정돼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따라서 전세계 IPv6 사용자가 이용하는 핵심분야에서 국제표준을 얻어냄으로써 우리나라도 인터넷부문에서 기술력에 걸맞는 지명도를 얻을 수 있게 됐다.

특히 이번 표준초안 작성에는 ETRI외에 미국의 선마이크로시스템즈, 컴팩 등이 공동작업을 하였다는 점에서 국제공동작업에 의한 국제표준 참여라는 모델을 제시했다는 것도 큰 의미가 있다고 ETRI는 설명했다.

IPv4/IPv6변환기술은 서로간 통신이 불가능한 IPv4 인터넷망과 IPv6 인터넷망을 변환과정을 통해 서로 연결해주는 SW기술로 IPv6를 도입하는 인터넷시스템이 IPv4가 사용된 기존 인터넷망과 통신하기 위해 필요하다.

현재 IETF 인터넷 표준문서인 RFC는 약 3천100건으로 대부분을 미국 기업들이 작성했으며 영국, 프랑스, 일본 등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일본의 경우 지난해 처음으로 RFC 표준문서에 채택됐으며 현재 3건에 불과하다.

지난해 3월 결성된 IPv6포럼코리아의 의장이기도 한 김용진팀장은 "인터넷분야에서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기술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인터넷 국제표준 제정작업에서 채택받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며 "이번 위킹그룹 드래프트 문서로 선정된 것은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한편 IETF는 인터넷 관련표준을 제정하는 국제기구로 인터넷 관련 최고권위를 자랑하는 국제표준화회의이다. 지난 8월 열린 회의에서는 전세계에서 2천500여명이 참여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ETRI를 포함해 90여명이 참석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