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국무, "일본 헌법개정논의는 일본의 몫"

중앙일보

입력

콜린 파월 미국 국무장관은 22일(현지시간) AP통신과의 회견을 통해 일본 자위대의 역할 확대를 위한 헌법 개정 논의는 미국이 관여할 사항이 아니라고 말했다.

파월 장관은 이날 AP통신 기자들및 편집자들과 국무부 청사에서 40분간 회견을 갖고 중동문제, 중국및 북한과의 관계, 미사일 방어계획 등을 비롯해 포괄적인 국제문제에 대한 정책 기조를 밝혔다.

파월 장관은 일본의 헌법개정논의는 "일본인들이 결정할 사안이며 그들이 이 문제에 대해 격력한 논쟁을 벌일 것"이라면서 "미국정부나 미국인들이 지시할 사항이 아니다"고 말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일본 총리는 2차 대전 패전후 마련된 헌법을 개정함으로써 국제사회에서의 자위대의 역할을 확대할 것을 제의해왔으며 이로 인해 인근 아시아국가들은 일본이 군국주의의 부활을 꿈꾸고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고이즈미 총리는 오는 30일 캠프 데이비드 미국 대통령 별장을 방문, 조지 W.부시대통령과 회담할 예정이다.

파월 장관은 또 대북(對北)정책과 관련, 미 행정부가 수개월간 대북정책을 재검토한 것은 적절한 조치였다고 말했다.

파월 장관은 이어 부시 행정부의 취임후 중단됐던 대북협상을 이달초 재개키로 제의하는 등 부시 행정부가 대북정책을 신중히 변화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파월 장관은 중국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중국 전투기와의 충돌사고로 하이난(海南)섬에 억류된 미국 정찰기 EP-3E의 반환을 위한 해체작업이 진행되고 있다면서 정찰기 반환이 끝나면 미 중관계가 좀더 건설적인 방향으로 발전될 것이라고 말했다.

파월 장관은 자신이 "머지 않은 장래에" 중국을 방문할 수 있길 기대하고 있으며 부시 대통령도 10월중 중국을 방문, 아.태경제협력체(APEC)포럼에 참석할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파월 장관은 또 미국이 미사일 방어체제를 강행할 경우 러시아의 전략핵무기를 증강하겠다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경고와 관련, 러시아가 막대한 비용문제 때문에 전략핵무기를 증강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파월 장관은 이어 "러시아도 (미사일방어체제의) 개발을 지켜보면서 결국 자신들에게 위협이 되지 않을 것이란 점을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파월 장관은 부시 대통령이 최근의 유럽 순방을 통해 유럽 국가들로부터 미사일 방어체제에 대한 지지를 이끌어내지 못했다는 지적과 관련, 부시 대통령의 순방중진전이 있었다면서 취임 5개월째를 맞는 부시 행정부의 외교수행능력을 적극 옹호했다.

중동사태와 관련해서는 파월장관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 평화협상 재개를 위해서는 먼저 폭력사태가 종식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 은연중에 팔레스타인측을 압박했다.

파월 장관은 그러나 양측간 폭력사태 건수가 약간 감소하는 등 평화를 위한 과정에 "약간의 희망적인 조짐들"이 보인다고 말했다.

파월장관은 이밖에도 미연방검찰이 지난 96년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발생한 미군 숙소 '호바르 타워스'에 대한 폭탄테러와 관련해 14명을 기소한 것과 관련, 대 이란정책의 변화는 없을 것이라며 이란이 테러활동을 지원하고 있는데 대해 미국은 오랜동안 우려해왔다고 지적했다. (워싱턴 AP=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