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규모 민관 사이버 안보 체제 추진

중앙일보

입력

미국 정부는 중요한 기반 시설들에 대한 사이버 공격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민간 분야와 `전례 없는'' 동반자 관계를 구축할 방침이라고 콘돌리자 라이스 백악관 안보 보좌관이 22일 밝혔다.

라이스 보좌관은 인터넷 안보 관련 포럼에 참석, 부시 행정부 출범 이후 주요정책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처음으로 밝히는 가운데 컴퓨터에 대한 과도한 의존이미국으로서는 급소이며 적에게는 달콤한 목표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라이스 보좌관은 "가상 연습 결과 전력선이나 비상전화체제에 혼란을 야기할 해커는 잘 조직화된 일부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고 말하고 "그러나 이제는 발전소와 통신망 등 주요 기반시설의 90% 이상을 운영하는 민간 기업들이 파괴된 핵심시설들을 신속히 복구 및 재건해야 하는 시나리오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민관 분야가 협력하는 동반자 관계에 대해 논의하고 있으며이러한 일은 미국 역사상 전례가 없는 일"이라고 말하고 "그것은 독특한 문제로 독특한 해결책을 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업계 지도자들이 이미 정부 당국과 손잡고 올해 늦여름까지는 어떠한 사이버 기습도 복구할 수 있는 국가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주요 기반 시설 안보를 위한 동반자 관계 위원회''로 불리는 민관 협력 기구를 이끌고 있는 켄 워슨 시스코 시스템스 사장은 현재 반독점, 배상책임, 암호화,정보자유법, 비용 복구, 경제 첩보, 무역 비밀 등과 관련한 의회의 입법 조치를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