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핵무기 5000개 만들 플루토늄 보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일본은 이미 1968년 당시 핵무기 제조가 가능하다는 기술적 결론을 내렸다. 사토 에이사쿠(佐藤榮作) 총리 때다. 내각조사실 의뢰로 비밀리에 작성된 보고서(‘일본의 핵정책에 관한 기초적 연구(1)’)는 “원자탄을 소량 제조하는 것은 가능하고, 또 비교적 쉬울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미사일 추진·유도에 대해서도 상세히 적고 있으며 “핵폭탄 제조는 핵 재처리시설이 완공되는 72년 이후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사토 내각은 그러나 70년 핵 보유의 전략적 측면을 다룬 보고서(‘일본의 핵정책에 관한 연구(2)’)에서 “일본은 전략·외교·정치적 구속으로 핵무기를 가질 수 없다”고 못 박았다. ▶좁은 국토에서의 지하 핵실험 어려움 ▶산업 집중에 따른 핵공격 취약성 ▶핵무장에 따른 외교적 고립이 그 이유였다. 64년 중국의 1차 핵실험에 대한 일본 정부 차원의 결론이었다. 44년이 흐른 지금 일본이 핵무장의 결단만 내린다면 핵무기 제조는 시간문제로 보인다. 핵 및 인공위성 기술 발전 때문이다. 일본이 국내외에 보유한 플루토늄 33t을 모두 핵무기로 만들 경우 5000개 이상이 된다(핵무기 1기당 플루토늄 6㎏ 기준).

 그러나 일본의 핵무장을 막는 견제장치는 한둘이 아니다. 그 첫째는 핵무기의 보유·제조·반입을 금지한 비핵(非核) 3원칙이다. 사토 총리가 67년 중의원에서 표명한 이래 지금까지 정부의 기본정책이 되고 있다. 둘째는 미·일 원자력협정이다. 이 협정은 핵 물질의 군사적 전용 금지와 위반 시의 핵물질 (미국) 반환을 담고 있다. 미·일 동맹을 깰 각오를 하지 않고선 핵개발에 나서기 어렵다. 셋째는 핵확산금지조약(NPT)이다. 이 조약이 보장하는 평화적 핵이용 권리의 최대 수혜국 중 하나인 일본이 핵물질을 군사적 목적으로 전용하면 국제 비확산 체제는 깨진다. 여기에 일본 국내 여론도 무시할 수 없다. 일본은 세계 유일의 피폭국이다. 원전 알레르기마저 강한 나라에서 핵무기 제조로 가기는 극히 어렵다. 국내외의 장벽이 그만큼 높다는 얘기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