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농구단, 최초로 평양 간 까닭은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미국 프로 농구 경기의 한 장면 [사진=AP/연합]

미국 직업 선수 출신으로 구성된 농구단이 친선 교류 차원에서 북한 평양을 방문했다. 미국 직업 선수 농구단이 북한을 찾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스위스 유학 시절 미국 프로 농구에 빠진 김정은 노동당 제 1비서의 기호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18일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중국과 한국 등 아시아에서 주로 활동한 선수로 구성된 미국 친교농구단은 16일 북한에 도착해 5일간 머물 예정이다.

이들은 평양에 머물며 북한의 대학이나 직업 농구선수단과 경기할 계획이다.

올 초부터 미국 친교농구단의 방북을 추진했던 농구단 대표 루크 엘리씨는 한국에서 외국인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대학에서 선수로 활약했고, 은퇴 후엔 중국에서 지도자 생활을 했다. 엘리씨는 "군사분계선과 가까운 동두천과 의정부에서 살면서 분단된 한반도의 모습을 체험했다"며 "이 시절의 경험으로 스포츠를 통한 북한과 외부 세계의 교류를 추진했다"고 전했다.

친교농구단은 엘리씨와 비슷한 시기에 선수 생활을 했거나 미국 서부 지역의 농구 관련 인사들로 구성됐다. 감독은 미국 농구 명문대학 UCLA를 비롯해 30여 개국에서 선수들을 지도했던 그레그 헤이즈씨다.

탈북자 출신으로 영국 런던에서 '자유북한' 신문을 발행하는 김주일 대표는 "북한에서 농구가 축구 다음으로 인기 있는 구기 종목"이라며 "북한 주민이 농구 종주국에서 온 미국 선수들에 관심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1985년부터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체육 시간에 농구를 장려하라고 지시한 이후 농구가 전국적으로 활성화됐고 직업 선수단도 생겼다. 평양시 체육선수단이나 기관차체육선수단, 제1국기업단 선수단 등이 활동하고 있다.

이번 미국 농구단 방북은 김정은은 체제에 들어서면서 농구가 더욱 활성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김정은은 스위스 베른 국제 학교 유학 시절, 많은 시간을 농구 경기에 빠져 지낸 '농구광'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농구단의 방북은 지난 4월 북한의 로켓 발사로 북미 관계가 나빠지며 무산될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농구단의 방북을 위한 자금을 마련하고, 북한의 입국 비자를 받기까지 고비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진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