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노트북을 열며

최경환과 유승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8면

신용호
정치부문 차장

유승민 의원은 까칠하다는 소리를 종종 듣는다. 그건 그의 매력이기도 하다. 2005년 그는 박근혜 대표의 비서실장을 맡은 적이 있다. 그때 박 대표에게 커피를 타다 주거나 대표 자리에 햇볕이 든다고 커튼을 대신 쳐준 적이 없었다고 한다. 비서실장이라면 할 법도 한 일이지만 그는 자신의 스타일대로 했다. 그래서인지 유 의원은 사석에서 “박 대표가 나를 편하게 생각하는 것 같지는 않다”고 한 적이 있다. 하지만 정책·전략적 사고, 사안에 대한 명쾌한 논리는 그의 강한 무기다.

 최경환 의원은 부드럽고 원만하다. 딱 부러지진 않지만 누구와도 스스럼없이 지내는 장점을 지녔다. 경제 관료 출신으로 언론사에서도 일한 적이 있어 조직·공보 감각도 갖췄다. 둘의 성품이 이리 다르다 보니 박 위원장을 대하는 스타일에서 차이가 났다. 시원하게 쓴소리를 내지르는 직선형이 유승민이라면, 쓴소리를 돌려서 할 줄 아는 곡선형이 최경환이다.

 둘은 2007년 대선 경선에서 박근혜 캠프의 축이었다. 유 의원이 이명박 캠프의 허점을 파고든 공격수라면, 최 의원은 종합상황실장으로 힘을 합쳤다. 하지만 2008년 총선 후 길이 갈린다. 친이계가 득세하자 유 의원은 칩거에 들어가지만 최 의원은 보폭을 넓힌다. 지식경제부 장관을 지내고 이 대통령과 박 위원장 사이에서 메신저 역할도 한다. 유 의원도 마냥 가만 있진 않았다. 지난해 7월 당 대표 경선에 나서 2위에 오르는 돌풍을 일으킨다. 하지만 그는 홍준표 체제가 흔들리자 다섯 달 만에 최고위원직을 던져 박근혜 비대위가 들어서도록 물꼬를 튼다. 다시 2선행이었다. 이는 최 의원의 역할이 커질 수밖에 없는 결과를 낳는다.

 그런 과정을 거치며 서로 갈등과 오해가 쌓인 듯하다. 표면화된 건 얼마 전이었다. 유 의원이 지난달 21일 “박 위원장이 좋은 보좌를 받지 못한다”고 말하면서 그게 최 의원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됐다. 마침 최 의원에겐 공천을 좌지우지했다는 소문이 퍼져 ‘최재오’란 별명까지 붙은 차였기 때문이다. 친박 좌장이었던 김무성 의원이 계파를 이탈한 후 둘은 원내에서 친박의 버팀목 같은 존재였다. 그들의 작은 갈등에도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는 건 박 위원장이 정권을 잡을 경우 그들이 친이계의 이재오·정두언 같은 존재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분란은 박 위원장이 나서 일단락시켜놨다.

 문제는 지금부터다. 박 위원장은 대선 레이스를 시작하려는 참이다. 그에겐 직선형·곡선형 참모가 다 필요하다. 당내엔 둘의 갈등이 혹여 더 깊어지면 박 위원장이 엄청난 부담을 안게 될 거란 얘기가 나온다. 당장 박근혜 리더십에 대한 부정적인 얘기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직선형 참모나 곡선형 참모, 어느 편에서도 ‘소통이 어렵다’는 얘기가 나오게 해선 안 된다. 박 위원장에게서 측근들을 뭉치게 만드는 또 다른 카리스마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측근에게 문제가 생길 때 보스가 겪는 고통이 얼마나 큰지 현 정권이 너무나 잘 보여주지 않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