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 현대건설 여신 만기연장

중앙일보

입력

외환은행을 비롯한 35개 현대건설 채권금융기관은 8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전체 채권단회의를 열고, 현대건설의 기존 여신은 만기가 되면 연장해 주기로 결의했다.

채권단은 그러나 현대건설에 신규 자금지원은 일절 하지 않기로 했으며, 현대건설이 진성어음을 결제하지 못할 경우 즉시 부도를 내고 법정관리에 넣기로 했다.

이날 참석한 전체 채권단의 97.96%가 현대건설 여신의 만기 연장에 찬성한 것으로 집계됐다.

만기연장 기간은 올 연말까지로, 1.2금융권이 가진 대출과 기업어음(CP).회사채 등이 모두 포함되나 해외차입금과 개인들이 보유한 회사채는 제외됐다. 이에 따라 현대건설은 연말까지 자체적인 자구계획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모색할 수 있게 됐다.

김경림(金璟林)외환은행장은 이날 "현대건설이 어떤 자구안을 내든 채권단의 만기연장 결의는 유효하다" 면서도 "그러나 현대의 자구안이 시장의 신뢰를 받지 못하면 만기연장 대상이 아닌 해외채권과 개인 보유 회사채의 상환 요구를 감당하지 못해 저절로 부도가 날 것" 이라고 밝혔다.

金행장은 또 "현대건설이 자구안을 이행하지 못해 부도를 낼 경우에 대비, 현대측에 감자 및 출자전환 동의서를 내라고 요구했다" 며 "현대가 확실한 자구책을 만들기 위해 진통을 겪고 있는 만큼 좀더 시간이 필요하다" 고 말했다.

한편 현대건설은 이날 제출할 예정이었던 추가 자구방안을 채권단측에 제시하지 못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그룹 계열사의 반발이 커 구조조정위원회 대신 현대건설 주도로 자구안 초안을 재작성해 채권단과 협의 중에 있다" 며 "가능한 한 이번 주 안으로 실현 가능성이 큰 내용을 담아 제출할 것" 이라고 말했다.

현대측의 자구안 지연과 관련, 김재수 구조조정위원장과 김윤규 현대건설 사장은 최근 이번 '현대 사태' 가 마무리되면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며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