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태 중간정리] 채권단 "자구안 좋다" 후 1차부도 처리

중앙일보

입력

현대의 주채권은행인 외환은행은 올 들어 현대로부터 네차례나 자구안을 받아 발표했다. 그때마다 은행측의 반응과 평가가 조금씩 달랐다.

지난달 18일의 4차 발표 때 김경림(金璟林)행장은 "이번 추가 자구안은 실현 가능성이 크다" 며 "기존 여신의 만기 연장만 이뤄진다면 현대건설의 단기 유동성 문제는 해소될 수 있다" 고 밝혔다.

하지만 현대건설은 자금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지난달 30일 1차 부도를 맞았다. 더 정확히 말하면 외환은행이 1차 부도를 냈다.

이후 지난 5일 긴급 은행장회의 직후 열린 회견에서 金행장은 "현대건설이 제출한 자구안 중 현실성 없는 부분이 3천8백억원에 이른다" 고 말했다. 외환은행과 정부의 말도 서로 맞지 않았다.

지난 3일 퇴출기업 발표 당시 이연수 외환은행 부행장은 "부도가 나면 어차피 법정관리에 들어간다" 며 "현대건설로부터 꼭 출자전환 동의서를 받을 필요는 없다" 고 말했다.

그러나 이틀 뒤 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이 "주채권은행이 현대로부터 출자전환 동의서를 받도록 하겠다" 고 하자 외환은행측은 "빨리 동의서를 받겠다" 고 했다.

금융계 관계자들은 "정부로부터는 경영개선계획 승인을 받아야 하고, 현대그룹이 무너지면 독자생존을 위협받는 외환은행이 정부와 현대를 상대로 '원칙에 따라' 행동한다는 것은 애초부터 무리" 라고 입을 모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