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은행 임직원 워크아웃 기업 취업"

중앙일보

입력

정부의 공적자금을 지원받아 워크아웃(기업개선 작업)을 진행중인 채권은행단의 임직원들이 퇴직후 대거 관련 워크아웃 기업의 사외이사, 감사 등으로 옮기는 등 도덕적 해이(모럴 해저드) 현상이 만연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정무위 정형근(鄭亨根.한나라당) 의원은 5일 금융감독위로부터 제출받은 국감자료를 분석한 결과 "금년 8월말 현재 워크아웃이 진행중이거나 이를 끝낸 71개 기업의 경영진에 포함된 전직 은행간부는 58개 기업에 117명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김 의원에 따르면 워크아웃 기업에 취업한 전직 은행 임.직원은 대표이사 및 사장 2명, 부사장.전무.상무 7명, 사외이사 78명, 감사 30명 등인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한빛은행의 경우 지난 98년 9월부터 금년 5월까지 퇴직간부 25명을 14개기업의 대표이사, 부사장, 감사, 사외이사 등으로 내보냈으며, 산업은행의 경우도 퇴직 임직원 16명이 14개 워크아웃 기업의 전무.감사.이사 등으로 자리를 옮긴 것으로 나타났다.

또 채권단 추천을 통해 워크아웃 기업의 사외이사로 선임된 채권 금융기관 출신사외이사 65명 가운데 38명(58.5%)이 단독추천으로 경쟁없이 선임됐다고 정 의원측은 덧붙였다

정 의원측은 "워크아웃 기업의 경영을 감시.감독해야할 채권은행단의 퇴직 임.직원이 관련 기업의 사외이사를 맡게될 경우 채권은행과 워크아웃 기업의 유착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서울 = 연합뉴스) 정재용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