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의 힘] "인터넷은 시민운동 주무대"

중앙일보

입력

시민운동이 사이버 공간으로 확산하고 있다. 시민단체들이 네티즌을 상대로 e-메일 서명.웹진 구독.배너 달기 등을 통한 온라인 시민운동을 펴고 있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피켓 시위나 항의 집회 등 오프라인 활동은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다. 시민단체들은 인터넷을 통해 회원도 모집, ''시민없는 시민단체'' 의 한계도 극복하고 있다.

◇ 온라인 시민운동〓함께 하는 시민행동(http://www.ww.or.kr)은 인터넷을 시민운동의 영역으로 선보인 ''벤처 시민단체'' 다.

자체 홈페이지와 별도의 도메인을 마련해 프라이버시 보호 캠페인(http://www.privacy.or.kr)을 펼치고 있다. 네티즌들의 고발을 접수해 개인 정보를 지나치게 많이 요구하거나, 정보 관리가 소홀한 민간 웹사이트들을 적발하고 있다.

이 캠페인에 동참하는 네티즌들은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공익광고 배너를 다운받아 자신의 홈페이지에 링크할 수 있다.

시민운동정보센터(http://www.kngo.net)는 8월 한달 동안 네티즌 자원 봉사자들의 도움을 받아 공공기관 홈페이지 평가 작업을 벌인다. 인터넷 민원 처리과정.업무관련 정보 및 자료의 공개 수준, 이용자 편의 등이 대상이다.

함께 하는 시민행동 정선애 사무국장은 "인터넷에서 개인 정보 유출, 무책임한 욕설.폭로 등 정보화의 부작용이 나타나면서 이에 불만을 느끼는 시민들이 온라인 운동에 자연스럽게 참여하고 있다" 고 말했다. 교통.환경.인권처럼 인터넷이 이미 별도의 운동 영역으로 자리잡았다는 지적이다.

◇ 정보화 인프라 미흡〓사이버 공간이 시민운동의 새 영역으로 자리를 굳혀가고 있지만 단체들의 인터넷 활용 여건은 열악한 형편이다.

함께 하는 시민행동이 최근 전국 52개 시민단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곳 중 1곳(19%) 꼴은 전용회선이 아닌 모뎀으로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1998년 11월 출범한 진보네트워크센터(http://www.jinbo.net)는 진보적 사회운동의 정보 인프라를 구축하는 운동을 벌이고 있다.

정보 네트워크를 통해 전세계 민중들이 지역과 국경을 넘어선 풀뿌리 연대를 구축, 진보적 사회운동을 더욱 활성화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홈페이지 개설.관리 및 이메일링 리스트 등 네트워크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사회단체들에 통신망을 무료 또는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고 기술도 지원해주고 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http://minbyun.jinbo.net)등 진보네트워크 도메인에 무료로 홈페이지를 구축한 단체가 1백45곳에 이른다.

진보네트워크센터(02-7744-551) 와 함께 하는 시민행동(02-708-4708) 은 시민운동가를 상대로 정보통신 및 인터넷 강좌도 준비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