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무역 갈수록 밑져 연평균 22억불 적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1990년대 후반(1995~99년)에 우리나라가 외국에서 첨단기술을 사오느라 지급한 돈이 무려 1백17억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동안 외국에 기술을 판 실적은 7억달러에 그쳐 연평균 22억달러꼴로 기술 무역수지 적자를 냈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최근 기술무역수지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95~99년 중 기술무역수지 적자규모는 1백10억1천3백만 달러로 90년대 전반(90~94년)의 51억달러에 비해 2배 이상 늘어났다.

기술무역수지란 국가간에 생산기술과 특허권.상표권 등을 사고 판 금액의 차이를 집계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기술무역수지 적자규모는 지난 80~84년엔 6억2천만 달러, 85~89년엔 27억4천만 달러였다.

한은은 최근 우리 산업구조가 컴퓨터 등 전기.전자 업종을 중심으로 점점 고도화하고 있으나 반도체 등 일부제품을 제외하곤 첨단기술 개발이 뒤져 선진국으로부터의 기술도입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업종별 기술도입 실적을 살펴보면 전체 도입액 중 전기.전자 업종이 차지하는 비중이 70년대 후반 9.7%에서 90년대 후반엔 51.9%로 대폭 확대됐고, 기계업종의 비중도 17.1%에서 20.7%로 늘어났다.

반면 경공업 부문의 기술도입 비중은 70년대 후반 12.1%에서 90년대 후반엔 3.7%로 하락했다.

국가별 기술의존도는 70년대 후반까지는 일본이 전체의 44.1%로 가장 높았으나 80년대 이후 미국으로부터 전기.전자업종 관련 고가 첨단기술 도입이 증가, 90년대 후반엔 미국의 비중이 55.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종인 한은 조사역은 "첨단기술 수요가 늘면서 지난해만 해도 컴퓨터 단말기 설계기술이나 액정표시장치(LCD)부품기술 등을 대거 수입했다" 면서 "기술무역수지 적자를 줄이려면 국내기업들이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해 핵심기술 자립도를 높여나가야 한다" 고 말했다.

한편 우리나라의 기술수출은 90년대 들어 빠른 속도로 늘고 있으나 아직 연평균 1억4천4백만 달러에 그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