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미분양 날개 돋친 듯 팔렸다

조인스랜드

입력

[이혜진기자] 2008년 가을 미국에서 불어닥친 금융위기로 부동산 시장이 침체된지 3년의 시간이 지났다.

당시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이 쌓이기 시작했고 건설사들은 사업을 포기하거나 연기하는 등 공급 물량을 줄여 분양 시장이 크게 위축됐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분위기가 반전돼 수도권보다 지방 청약열기가 더 뜨겁다.

그렇다면 골칫덩어리로 여겨졌던 미분양은 3년 동안 얼마나 줄었을까? 중앙일보조인스랜드가 지난 3년간 전국 미분양 가구수를 지역별로 분석해봤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2011년 10월 기준 전국 미분양 가구 수는 6만6462가구다. 미국발 금융위기로 부동산 시장이 급격히 침체하기 시작한 2008년 10월 기준 15만7241가구와 비교하면 9만여 가구가 감소했다. 3년 사이 절반 이상이 줄어든 셈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은 오히려 미분양 가구수가 늘었다. 서울, 경기는 3년 동안 미분양이 감소하긴 했지만 그 수가 적었고, 인천은 3배 늘었기 때문이다.

▲서울은 8%(160가구) 감소한 1821가구 ▲경기는 4%(804가구) 감소한 21556가구 ▲인천은 304%(2803가구) 증가한 3724가구다.

서울ㆍ경기 제자리… 인천은 3배 증가

서울과 경기는 2009년 2월 정부가 미분양주택에 대한 양도세, 취·등록세 감면 적용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담은 미분양주택거래활성화 대책을 발표하면서 점차 감소했지만 인천은 2009년 11월 정점을 찍으며 그 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인천에서만 2009년 한 해 동안 쌓인 미분양 가구 수는 2892가구로 조사됐다. 시장 분위기가 완전히 회복하지 못한 상황에서 청라지구와 영종신도시를 중심으로 한 해 동안 3만3000여 가구의 물량이 일시적으로 공급됐기 때문에 미분양수가 급격히 늘었다.

지방광역시는 모든 지역에서 절반이상 미분양수가 감소했다.

지역별로 ▲부산은 76% 감소한 3008가구 ▲대구는 56% 감소한 9295가구 ▲울산은 52% 감소한 4501가구 ▲대전은 69% 감소한 854가구 ▲광주는 93% 감소한 806가구로 조사됐다.

지방광역시 모두 절반 이상 줄어…광주 93% 감소

지방광역시 중 광주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2008년 10월 기준 1만1323가구였던 미분양수가 3년 새 93%가 감소했다. 가구 수로 보면 1만517가구가 줄어든 수치다. 금융위기 여파로 지방 미분양이 쌓이기 시작한 2008년 10월 이후 꾸준히 증가하던 가구 수는 2009년 2월을 기준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부산은 3년 새 77%인 9777가구가 감소했다. 금융위기 이후 등락을 반복하던 미분양수가 2009년 4월 최고치를 기록한 뒤 2011년 9월까지 꾸준히 감소했다. 하지만 최근 늘어난 공급물량 탓에 10월 미분양가구수는 3008가구로 9월 대비 166가구가 늘었다.

기타 지방 역시 전 지역 미분양수가 감소했다. 제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60% 이상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북은 88% 감소한 428가구 ▲충북은 78% 감소한 1195가구 ▲경남은 74% 감소한 4454가구 ▲강원은 74% 감소한 2460가구 ▲전남은 73% 감소한 1847가구 ▲경북은 71% 감소한 4434가구 등으로 조사됐다.

전북은 2009년 4월 기준 4876가구로 최고치를 기록한 뒤 현재까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경남 역시 2009년 4월 이후 꾸준히 감소해 3년 사이 1만2686가구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최근 분양물량이 전년과 비교해 3배 이상 늘어나면서 미분양수가 9월보다 706가구 늘었다.

이처럼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 가구 수가 감소한 것은 공급 부족을 꼽을 수 있다. 부동산 시장 위축이 장기화되자 건설사들이 지방 분양을 포기하거나 사업을 연기해 최근 2~3년 사이 공급 물량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가장 큰 감소폭을 나타낸 광주는 2008년 1만2898가구가 분양됐지만 경기가 침체되기 시작한 2009년에는 3376가구가 분양되는데 그쳤다.

또 최근 급등한 전셋값 때문에 전세 수요가 일부 매매로 돌아선 것도 한 이유로 꼽을 수 있겠다. 여기에 각 건설사들이 미분양 해소를 위해 분양가를 인하하거나 다양한 혜택을 내세운 것도 미분양 감소에 도움이 됐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