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 “종교계보다 대기업 신뢰” … 5점 만점에 3.0<3.12 조계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우리 사회에서 종교계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가 대기업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1일 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가 전국 16~69세 남녀 1512명을 면접 조사(9월26일~10월15일)해 발표한 결과다. ‘한국의 사회문화 및 종교에 관한 대국민 여론조사’에 따르면 한국사회에 대한 전반적 신뢰도는 5점 만점에 2.89. 분야별로 보면 의료계(3.22)-시민사회(3.22)-학계(3.16)-대기업(3.12)이 종교계(3.00)보다 높게 나왔다. 금융계(2.88)-언론계(2.86)-정부·지자체(2.48)-국회·정당(2.17)은 평균보다 낮게 조사됐다.

자신이 믿는 종교 지도자에 대한 신뢰도는 신부(4.91)-스님(4.83)-목사(4.64) 순이었다. 한국사회에서 영향력이 가장 큰 종교는 개신교(53.2%), 불교(23.7%), 가톨릭(17.6%)으로 조사됐다. 또 종교간 갈등 원인을 제공하는 종교로 개신교(57.0%)가 가장 많이 지목됐다. 그 다음이 불교(12.7%), 이슬람교(8.7%), 원불교(3.8%), 가톨릭(2.8%)이었다. 또 종교정당을 통한 종교인의 정치참여에 대해선 86.6%가 적절하지 않다고 답했다.

 스님의 육식 허용에 대해선 긍정적인 응답자(26.1%)와 부정적인 응답자(25.9%)간 큰 차이가 없었다. 스님의 고급 승용차 이용에 대해선 34.6%가 부정적이고, 24.2%가 긍정적이었다. 불교사회연구소장 법안 스님은 “이번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조계종단의 종책(宗策)을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신뢰도 회복을 위한 재정 투명성 실현 등이 절실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백성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