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로펌이라고? 이광재·강금원씨 사건도 우리가 맡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3면

김동건 법무법인 바른 대표변호사가 서울 대치동 ‘바른’ 사옥 5층에 걸려 있는 오수환 작가의 그림 ‘배리에이션’ 앞에서 포즈를 취했다. 그는 “신정아씨가 자신의 자서전에 대한 법률자문을 해준 바른을 위해 그림을 기증하면서 이 그림을 이곳에 걸도록 조언해줬다”고 말했다. [김태성 기자]

“MB 로펌이라고요? 변호사는 사건 앞에선 이념이 없습니다.”

 세간에서 ‘MB 로펌’이란 소리를 듣는 국내 대형 로펌이 있다. 법무법인 바른이다. 노무현 정부 시절엔 강금실(54) 전 법무부장관이 대표 변호사를 지낸 ‘지평’이 부각된 것처럼 이명박 정부 들어 승승장구한 덕에 뜻하지 않은 별칭을 얻었다. 화제를 몰고 다닌 바른이 이번엔 국내 로펌 중 처음으로 서울 대치동에 사옥을 마련했다. 김동건(65) 대표변호사를 지난 21일 바른 사옥에서 만나 빠른 성장의 비결을 들어봤다.

 - 국내 로펌 중에선 사옥을 처음으로 마련하게 됐다. 현 정권의 수혜를 입어서 사옥까지 마련하고 빠르게 성장했단 말도 듣는데.

 “바른은 1998년 강훈(57) 대표변호사와 4명의 변호사가 모여서 만들었다. 서울고등법원장에서 물러나 바른에 합류한 게 2005년이다. 이후 매년 20명 이상을 채용하면서 지난 7년여 간 빠르게 성장했다. ‘MB 로펌’이란 소리를 듣는데 정동기 전 민정수석이 올해 바른으로 복귀한 것 때문에 그런 인상을 받는 것 같다.(※정 전 민정수석은 대검찰청 차장검사를 지낸 뒤 2007년 바른에 합류했다. 공직에서 물러난 그는 올 초 바른으로 돌아왔다.)”

 - 이명박 대통령 처남과 관련된 도곡동 땅 사건, 김윤옥 여사 사촌언니 공천로비 등 현 정권 관련 사건 대리가 많았지 않나.

 “그렇지만은 않다. 이광재 전 강원도지사와 서갑원 전 민주당 의원의 형사사건, 노무현 전 대통령의 후원자였던 강금원 창신섬유 회장의 형사사건도 맡았다. 또 학력위조 스캔들을 일으킨 신정아씨의 책 『4001』에 대한 법률검토, 서태지-이지아씨의 이혼소송에서 이지아씨의 변론도 했다. 여당 사건만 한 게 아니라 송무에 관해선 바른이 경쟁력이 있단 뜻으로 해석해야 한다.”

 - 경쟁력의 원천은 무엇이라고 보나.

 “사건을 수임하면 치열하게 싸워야 하는 변호사는 사건 앞에선 이념이 없어야 한다. 변호사가 변론에 이념을 더하는 순간 편향된 변론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

 - 사옥에 입주한 기분은 어떤가.

 “40평 전세 살다가 20평대 자택을 마련한 기분이다. 전보다 사무실은 좁아졌지만 내 집이라 생각하니 기분이 좋다. 지난 10일엔 ‘전세살이’를 면한 기념으로 고사까지 지냈다. 돼지머리에 팥떡을 상에 올리고 축문까지 읽었는데 토머스 피난스키 미국 변호사가 돼지 입에 만원짜리를 물리고 넙죽 절까지 하는 걸 보니 ‘내 집’ 생긴 기분이 그제사 들었다.”

 - 앞으로의 비전은 무엇인가.

 “국내 최초의 한글 이름 로펌, 국내 최초로 자체 빌딩을 갖게 된 로펌에 이어 최근엔 국내 첫 법학전문대(로스쿨) 공개경쟁 채용도 마쳤다. 채용 과정에서 지방 로스쿨생 선발도 바른이 출발선을 끊었다. 지난 7년간 상승커브를 잘 탔지만 이제부터 시작이란 생각을 하고 있다. 10년 뒤 후배들에게 좋은 로펌 물려줬다는 소리를 듣는 것이 꿈이다.”

글=김현예 기자
사진=김태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