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사직공원 재개발구역 난개발 논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서울시가 7개월 가량 경관훼손 논란을 빚어온 지역에 용적률(대지면적 대비 건축물 연면적 비율)을 오히려 올려 재개발을 허용키로 해 물의를 빚고 있다.

이 조치는 서울시가 고층.고밀도 개발을 막기 위해 용적률을 대폭 낮춘 도시계획 조례 시행(7월)을 불과 한달 앞두고 나왔다.

시 도시계획위원회는 지난 25일 사직단(社稷壇.국가 사적 121호)과 직선거리로 35m 떨어진 종로구 사직동54 일대 1만2천여평을 재개발구역으로 지정하는 안을 통과시켰다.

특히 종로구의 건의에 따라 일반주거지역(용적률 3백%)이던 이곳을 용적률이 2배 이상 높은 준주거지역(용적률 7백%)으로 용도변경했다.

이대로 확정되면 종로구청과 주민들의 건축계획(용적률 5백50%)에 따라 14층짜리 3동 등 주상복합아파트 6개동이 들어서게 된다.

이 지역은 도시계획위가 지난해 10월 재개발구역으로 결정한 직후 '인왕산과 사직단의 경관훼손이 우려된다' 는 지적에 따라 서울시장이 도시계획위에 재심의를 요청했던 곳이다.

◇ 시늉뿐인 재심의〓수정된 계획에 따르면 낡은 단독주택 3백90가구를 철거하고 아파트 7백30가구를 짓게 된다.

공원 위치와 건물 배치를 일부 수정했으나 일부 건물은 층수가 오히려 높아졌다. 재개발 대상 가옥 중 건축된지 10년 미만인 것만 1백10가구인 점도 여전히 재검토가 요구되는 대목이다.

시 내부에서조차 "과밀개발을 막기 위해서는 용적률을 올리는 것이 옳지 않다" 며 반대의견을 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서울시 관계자는 "낡은 단독주택가의 재개발이 불가피하고 공원 등 공공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용적률을 높일 수밖에 없었다" 며 "인근 내수지구에 14층아파트가 건립돼 있어 형평성도 문제된다" 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