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경에 첨단 한국기업단지 조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중국 베이징(北京) 근교 3곳에 한국기업들이 각종 세제혜택과 정책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정보과학단지인 ''한국성(韓國城)'' 이 조성된다. 한국성 프로젝트란 창핑(昌平)구의 첨단과학기술개발구, 사허(沙河)진 반도체연구단지, 베이징 전자성(電子城)등 3곳에 한국의 첨단기술 기업을 적극 유치, 한.중 조인트 벤처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베이징시 창핑구(구청)와 한국의 ㈜오비스는 20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한국성 프로젝트 조인식을 체결했다. 중국은 한국기업 유치를 위해 기업소득세 면세 등 각종 세제혜택을 부여하고 금융지원과 부가가치세 환급 등 정책적 지원도 아끼지 않을 방침이다.

한국기업의 경우 기술만 제공할 경우에도 조인트 벤처 기업의 지분 가운데 15~45%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중국의 이같은 방침은 무엇보다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을 앞두고 중국 국유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은 시장이 개방될 경우 국가의 보호속에 안주해온 국유기업들이 무더기로 도산위기에 처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한국의 기술과 경영 노하우.자본 등을 도입해 경쟁력을 강화하자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한국이 중국으로의 기술이전에 가장 우호적인 나라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에 기술이 종속되는 상황을 꺼리는 중국은 한국으로부터 기술을 이전받는 게 더 유리하다고 판단, 한국기업의 유치에 적극적이다.

현재 한국성에는 반도체 테스트장비 제작업체인 성진전자, 인터넷 업체인 바라 인터내셔널 등 4개 업체가 중국 기업과 합작계약을 마치고 공장설립에 들어가 있다.

창핑구와 ㈜오비스는 올해 중 60여개의 한국기업을 유치한다는 목표를 세워놓았다.

3곳의 한국성에는 이미 중국의 1천5백여개 정보산업.에너지.생명공학 업체가 입주해 있다.

㈜오비스는 한국성에 진출하려는 한국기업과 합작할 중국기업들을 조사, 연결시켜 주는 업무와 번거로운 중국내 인허가 절차를 대행하는 업무를 맡는다.

베이징시는 앞으로 10년에 걸쳐 한국성 프로젝트를 추진한다는 계획으로 올해부터 2004년까지를 제1기, 2005년부터 2009년까지를 제2기 개발기로 확정지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