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주택 건립…표정 다른 강남권 재건축 단지들

조인스랜드

입력

업데이트

[권영은기자]

최근 들어 강남권 대표 재건축 아파트 단지들의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면서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임대주택 건립 문제가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개포지구와 반포지구, 은마아파트 등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는 각 단지들은 임대주택에 대한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 대부분 입지나 가격적인 측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만큼 임대주택 건립을 되도록이면 피하고 싶어하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들의 바람처럼 임대주택을 짓지 않는 문제는 그리 간단하지 않다. 예컨대 3종일반주거지인 반포1단지 3주구 아파트만 놓고 보더라도 법적상한용적률인 300%를 적용받기 위해서는 임대주택 건립이 필수적이다.

임대주택 건립으로 늘어난 용적률로 지은 절반의 주택은 임대로, 나머지는 일반분양으로 공급할 수 있다.

임대주택…강남 재건축 아파트엔 계륵

그렇지 않고서는 서울시 조례에 따라 법적상한용적률까지 주택을 신축하기 어려워진다. 결국 수익성이 크게 낮아져 조합원들이 부담해야할 추가 부담금이 높아진다.

때문에 강남 재건축 아파트 사업에서 임대주택은 계륵과도 같은 존재다. 안 짓자니 용적률이 떨어져 수익성도 덩달아 낮아지고, 짓자니 향후 집값에 적잖은 영향을 줄 것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얼마 전 열렸던 개포주공2단지의 주민설명회에선 이 문제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대부분의 주민들이 임대주택에 대한 강한 거부반응을 보였다. 임대주택이나 지으려고 10년간 사업을 끌어왔느냐는 비난의 목소리가 거셌다.

해당 단지 추진위원회 관계자와 구청 관계자들은 "임대아파트를 짓지 않으려면 용적률을 법벅상한까지 받지 않으면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주민들은 "추가부담금을 더 내란 말이냐"며 협의점을 찾지 못하고 이날 설명회는 막을 내렸다.

개포2단지 주민 이모(58)씨는 "강남에 마지막 남은 노른자위 땅에 임대아파트가 가당키나 하겠느냐"며 "주민들은 계획에서 아예 없애든 꼭 지어야 한다면 소셜믹스가 아닌 분리동으로 따로 빼기를 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안 지을 수 없다면 고급화로 간다"

추진위원장을 새로 선출하며 재건축 사업에 의지를 불태우고 있는 은마아파트는 임대주택 고급화 전략을 세웠다. 임대아파트를 지어 아파트 가치를 떨어뜨리느니, 고가의 임대주택을 짓겠다는 것이다.

은마아파트 추진위 관계자는 "서울시가 공급하는 장기전세주택(시프트)는 우리 단지의 콘셉트와는 맞지 않아 품격을 갖춘 고급 임대아파트를 계획하고 있다"며 "주택형은 작더라도 고급화해서 임대아파트 건립에 대한 주민간 이견을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반포지구는 임대주택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는 않은 상황이다. 재건축 사업이 주민들의 오랜 숙원사업이었던 탓이다.

반포1단지 3주구 추진위 관계자는 "임대아파트 100여가구를 지을 계획을 갖고 있지만 대다수의 주민들은 임대주택을 짓든 아니든 사업이 빨리 정상화되기만을 바라고 있다"며 "특히 수익성이 조금 더 높아지기 위해서는 임대주택 건립은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