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그룹 회장'제 존폐 놓고 진통 거듭

중앙일보

입력

금융감독위원회가 30일 정주영(정주영) 현대 명예회장의 그룹 회장 지명은 법적으로 잘못된 일이라고 문제를 제기한 가운데 현대는이날 오전 잇단 수뇌부 회의를 열어 지배체제 개선방안을 논의하고 있으나 핵심인그룹 회장제 존폐문제를 놓고 진통을 거듭하고 있다.

현대 수뇌부와 현대경영전략팀은 31일로 예정된 정몽헌(정몽헌) 회장의 기자회견을 통해 그룹 소유.경영시스템을 획기적으로 개혁할 수 있는 방안을 발표하기 위해 이날 잇단 회의를 가졌다.

현대 고위 관계자는 "정몽헌 회장은 현대건설과 현대전자만을 경영하고 나머지계열사는 전문경영인들이 이사회를 중심으로 책임지고 경영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그룹 회장제까지 없앨지에 대해서는 그룹내 거부감이 적지 않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정부의 압력이 상당한 만큼 경영자협의회와 구조조정위원회는 해체하자는 의견이 그룹내에 우세하다"면서 "경영자협의회를 해체하되 중복투자 방지를 위한 계열사간 협의기능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아 여러가지 대안을 놓고숙의중"이라고 말했다. 이는 경영자협의회를 해체하게될 경우에라도 다른 형태로 계열사간 협의기능을 존속시키려는 움직임으로 보인다.

구조조정위원회의 경우는 실무를 맡아온 현대건설 경영전략팀, 현대그룹 차원의대외홍보를 맡아온 PR사업본부의 조직과 인력을 대폭 축소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소유와 경영을 분리해 회사 경영은 전문경영진에게 일임하고 대주주는 이사회에만 참여하는 `미국식 이사회'제도를 실천하는 방안과 소그룹간 계열분리 시한을2003년에서 1년가량 앞당기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연합뉴스) 박운영기자 = pwy@yonhapnews.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