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진출업종 서비스·SW로 전환필요'-KIEP

중앙일보

입력

중국은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에 따른 제품경쟁력 향상으로 한국상품의 대외시장을 잠식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대중국 진출업종은 기존의 제조업에서 서비스.소프트웨어 분야로 전환돼야할 것으로 분석됐다.

김익수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연구원은 24일 내놓은 `중국의 WTO가입이 동아시아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보고서에서 이렇게 밝혔다.

김 연구원은 "중국의 WTO가입에 따라 단기적으로는 대중 수출이 늘어나는 등의 특수효과가 발생하지만 결국에는 중국의 국가경쟁력이 향상되면서 미국, 동남아시아등 한국의 대외시장을 잠식할 것"이라고 말했다.

즉 중국내 관련 법규.정책.관행 개선과 수출입 절차 간소화, 외국기술.노하우흡수, 무역.유통영역에 민간부문 참여 등이 중국상품의 가격.비가격 경쟁력을 높인다는 것이다.

중국은 제1단계 비관세 장벽이 폐지되는 2003년이면 초보적 시장경제에 도달하고 2005년에는 경쟁과 효율이 강조되는 체제로 바뀐다는게 김 연구원의 설명이다.

김 연구원은 따라서 "중국의 WTO가입에 따라 일시적으로 대중 수출이 늘어나는데 만족해서는 안된다"면서 "대중 수출업종을 제조업에서 서비스.소프트웨어 분야로 전환하는 한편 연구개발(R&D)에 적극 나서 산업의 기술 고도화에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앞으로 중국과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기존의 재벌체제로는 대외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하기 어려운 만큼 기업합병보다는 분사를 보다 촉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최근 국내의 벤처업체들은 단기적인 주식가치 극대화에 매달리는 경향이 있다"면서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값싼 자본과 기술을 받아들이는 중국과의 경쟁에서 밀려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서울=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