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신사 정상화 방안] 투신채권 무제한 매입 환매'불길'잡는다

중앙일보

입력

투자신탁회사 경영정상화 방안은 주가와 금리를 어떻게든 지키려는 정부의 노력이 담겨 있다.

3조원 규모의 공적자금을 한국투신.대한투신에 투입하는 등 투신 살리기에 초점이 맞춰지다 보니 부실 투신사 퇴출은 없고, 근본 처방 중 하나로 검토됐던 채권 시가평가제도의 전면 도입도 시장안정을 이유로 내년 7월 이후로 미뤄졌다.

투신상품 환매를 막고 금리를 안정시키기 위한 정부 의지는 확고하다. 정부는 오는 10일 이후 투신권에 환매사태가 일어날 경우 채권시장 안정기금과 은행들을 동원해 투신사 보유채권을 무제한 매입해줄 계획이다.

또 한국은행은 물가에 부담이 되더라도 금융시장이 안정될 때까지는 저금리 기조를 유지한다는 구상이다.

◇ 한국.대한투신 경영정상화〓한투에 2조원, 대투에 1조원이 투입된다. 이 자금은 64조원의 금융구조조정기금에서 나오는 것은 아니며, 정부와 국책은행들의 보유 주식이 동원된다.

두 투신사는 대규모 감자(減資) 이후 정부와 국책은행들로부터 현물(주식)출자를 받아 '諧暉? 금융기관으로 다시 탄생하게 된다.

한투에는 산업은행이 1조1천억~1조2천억원을, 정부가 6천억원을 현물 출자한다. 대투는 기업은행이 약 5천억원, 정부가 4천억원을 역시 현물로 넣는다. 따라서 한투는 산은이, 대투는 기은이 각각 최대 주주가 된다.

나머지 3천억~4천억원은 한빛.조흥.외환은행, LG.현대.동원.대신.동서증권 등 기존 주주들이 그동안의 부실에 대한 책임분담 차원에서 '십시일반' 출자하게 된다.

9월말 현재 한투.대투의 자산을 초과하는 부채액과 대우채권 손실규모(손실률 50% 가정)는 총 4조원선.

이번에 3조원이 투입돼도 1조원 가량이 남지만 이 정도는 자체 수익과 감량경영 노력으로 충분히 감당해낼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 대그룹 계열 투신사들의 정상화〓주인이 있는 투신(운용)사들은 대주주 책임아래 증자 등을 통해 대우 손실을 털어내도록 적극 유도하게 된다.

이미 현대증권을 비롯한 현대그룹 계열사들은 현대투신증권에 6천억원, 현대투신운용에 1천억원을 각각 내년 초까지 증자하기로 했다.

현대투신증권은 유상증자 외에 외자유치와 자회사인 현대투신운용의 지분매각.보유재산 매각 등을 통해 1조9천억원을 추가 조달해 부실을 완전 해소한 뒤 2년 후 코스닥시장에 등록할 계획이다.

서울투신운용의 대주주인 대우증권과 한진증권도 1천억원을 추가 출자키로 했으며, 삼성증권도 자회사인 삼성투신운용에 4백억원 안팎을 증자해 부실을 털기로 했다.

정부는 가급적 11월 중에 24개 투신운용사들이 대주주의 책임아래 증자 등을 실시, 경영을 정상화하도록 독려하고 있다.

김광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