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투기자금 무서워 금리 손 못 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7면

‘안정적이고 신중하면서도 유연한 거시정책’. 12일 중국이 중앙경제공작회의를 통해 천명한 내년 경제정책 방향이다. 긴축 모드로 들어가지만 성장을 희생시키는 일은 없도록 하겠다는 뜻이다. 의도는 그럴싸하지만 이는 반대 방향으로 뛰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것만큼이나 어려운 일이다. 10일 중국이 시장이 예상했던 금리 인상 대신 지급준비율 인상 카드를 들고 나온 데도 이런 고민이 담겨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이 지준율을 올린 건 올 들어서만 여섯 번째다. 하지만 금리는 10월에 딱 한 번 올렸다. 같은 기간 인도는 여섯 차례, 한국은 두 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지급준비금은 은행이 예금으로 받은 돈 중 일부를 중앙은행에 의무적으로 예치해 놓는 것이다. 지준율이 높아지면 은행이 대출할 수 있는 여력이 준다. 상당수 선진국은 지준율을 통화정책 수단으로 잘 쓰지 않는다. 별 효과가 없기 때문이다. 채권시장이 발달해 있어 은행들이 은행채나 양도성예금증서(CD)를 발행해 돈을 마련할 수 있고, 이런 자금은 지준율 규제를 받지 않는다. 중국은 사정이 좀 다르다. 여전히 은행들이 예금에 의존하고 있어 나름대로 긴축 효과는 있다.

 그래도 금리 인상에 비해서는 확실히 파급 효과가 작다. 13일 아시아 증시에서 일제히 ‘안도 랠리’가 벌어진 것도 이 때문이다. 본격적으로 돈줄을 죄기 시작할 것이란 우려에 바짝 긴장했다가 지준율 인상이라는 다소 미적지근한 대응이 나오자 한숨 돌린 것이다.

 중국을 주저하게 만드는 건 불안한 금융시장이다. 선진국들이 초저금리를 유지하고 있는 데다 ‘양적 완화’라는 이름으로 돈을 찍어내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만 금리 인상에 돌입할 경우 투기자금(핫머니)의 유입 속도는 더 빨라질 수 있다. 이 돈이 자산 거품을 부추기고 다시 물가를 끌어올리는 악순환을 빚을 수 있다. 핫머니 유입의 영향으로 위안화 절상 압력이 더 높아질 수도 있다.

 하지만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이 사라진 건 아니다. 인플레 압력이 지준율 인상과 정부의 완력으로 막을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설 것이란 게 상당수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계속 미적대다간 급속히 긴축으로 돌아서야 하는 상황에 빠져 오히려 충격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스티븐 로치 모건스탠리 아시아 회장은 9일 “중국은 빠르고 공격적으로 인플레이션에 대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민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