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투자환경 이렇게 조사하자

중앙일보

입력

투자환경을 지리적 특성을 내용으로 하는 것(HARD류)과 경제정책의 집행상황등 그 지역 특유의 분위기를 내용으로 하는 것(SO FT류) 으로 나누어 본다면 최소한 다음 상황은 사전에 확인할 필요가 있다.

1)기초환경(HARD류)

가. 원부자재 공급지역과의 거리

경영의 어려움을 덜고 원가절감을 위해서는 필요한 원부자재의 공급지역과 멀리 떨어져서는 안된다.

나. 교통, 운송 상황

도로, 철도, 선박, 항공운송등 필요한 교통운송수단의 사용편리를 확인하고 아울러 값비싼 중국의 내륙 운송비를 감안해 보아야 한다.

철도운송에서 의존하여야 하는 기업은 기차역을 , 해상운송의 경우에는 부두의 위치와 그 제반상황을 살펴보아야 한다.

다. 시장조사

제품의 전부 또는 일부를 내수판매 하고자 하는 기업은 특히 시장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여 최적 지역을 선택하여야 한다.

시장상황을 충분히 검토하지 아니하고 막연히 내수판매에 뛰어드는 것은 금물이다.

2)사회분위기 (SOFT류)

여기서 말하는 사회분위기는 주로 안정된 정치, 법률, 법규의 준수상태, 경제정책의 집행상황, 정부의 업무처리 효율, 정보제공 등 서비스상황을 포함한다.

가. 사회치안이 비교적 좋은 지역을 선택한다.

중국은 국토가 넓고 지방마다 그 특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사회의 치안상황도 지역에 따라 어느정도 차이가 있다.

사회치안 상황이 비교적 안정된 지역에 투자를 하는 것은 기업의 경영안전과 발전에 유리할 것이다.

나. 법규의 준수상황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투자기업은 법에 따라 설립, 운영되어야 하기 때문에 경영활동 과정에서 법을 이탈 할 수 없다. 중국은 국토가 광활하기 때문에 경제와 문화발전상황이 각기 다르고 지도층과 일반 주민들의 법에 대한 의식에도 많은 차이가 있다.

투자지역을 선택할 때 준법 정신이 비교적 강한 지역을 선택하는 것도 필요한다.

법 의식이 강한가를 확인하려면 현지 정부의 업무처리상황, 접촉하는 회사의 업무처리상황 또는 현지의 경제와 문화발전 상황과 주민들의 정서등 각 방면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해 보는 것도 유익할 것이다.

* 본 정보는 한중경제교류중심 제공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