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한·미·일 거부하는데 ‘6자’ 집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중국이 한·미·일이 부정적 반응을 보였음에도 6자회담 재개 카드에 여전히 집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이빙궈(戴秉國·사진)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은 이르면 1일 밤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의 특사자격으로 북한을 방문할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 소식통들은 “다이빙궈 위원이 방북하면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나 중국이 제안한 6자회담 수석대표 긴급회동에 북한의 참여를 촉구하는 등 연평도 도발 문제와 관련해 집중적인 논의를 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다이빙궈 위원은 지난달 28일 방한했을 당시 우리 정부 측에 “서울에 이어 평양을 방문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외교 소식통은“북한이 6자회담에 원칙적으로 찬성한다는 입장을 표명하면 중국은 이를 구실로 한국과 미국·일본에 다시금 6자회담 재개에 동참하라고 압박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소식통은 “중국은 북한이 우라늄 농축시설을 공개했을 때나 연평도를 공격했을 때 북한을 전혀 비난하지 않았다”며 “따라서 다이빙궈 위원이 방북한다고 해도 북한에 특별히 압력을 행사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어 “중국이 겉으론 6자회담을 서두르는 모습을 보이지만 한·미·일이 당장 6자회담에 응할 가능성은 거의 없고, 북한도 6자회담에 진심으로 참여할 생각은 없어 보인다”며 “따라서 중국의 6자회담 재개 제스처는 북한의 연평도 도발로 난처해진 국면을 전환하기 위한 ‘물타기’ 전략의 일환일 것”이라고 관측했다.

전수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