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일쇼크 때 G5 → 금융위기로 G20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는 지구촌 유지들의 모임이다. 선진 경제권과 신흥국을 대표하는 나라들이 모여 세계 경제의 질서를 관리하고 규칙을 만든다. 이런 모임의 연원은 197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차 오일쇼크 이후 세계 경제가 휘청거리자 미국이 중심이 돼 영국·프랑스·독일·일본의 고위급 경제관료들이 비공식으로 모여 세계 경제 질서를 논의할 모임을 만들기로 했다. 이듬해 프랑스 랑브예에서 이들 나라의 정상이 모였는데, 이때 이탈리아가 끼면서 G6로 출발했다.

76년에는 캐나다가 추가되면서 서방 선진 7개국(G7) 모임이 출범했다. G7은 매년 정상회의와 재무장관 회의를 개최하면서 세계 주요 경제현안을 조율했다. 냉전시대가 끝나고도 한참이 지난 97년 러시아가 이 모임에 합류했다. 그러나 러시아는 정상회의와 외무장관 회의에 참여해 G8을 구성했지만 재무장관 회의에는 끼지 못했다.

 G20은 97년 아시아 외환위기를 계기로 탄생했다. 선진국과 신흥국들이 함께 모여 당면 문제를 논의할 자리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때만 해도 G20은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만 모였다.

 그러다 2008년 선진국에서 금융위기가 발생하자 선진국과 신흥국 간의 긴밀한 정책 공조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됐다. 이에 따라 프랑스와 이탈리아 등이 이런저런 국제 협의체 아이디어를 국제사회에 제출했다. G13과 G14를 만들자는 주장이 그런 예다. G13은 G7+브릭스(BRICs: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지역대표(남아공·멕시코)가 모이자는 제안이었고, G14는 G13에 지역대표(사우디아라비아)를 추가하자는 시도였다.

 결국 유럽이 아니라 미국의 주장이 먹혔다. 미국은 G20을 정상회의로 격상하자고 제안했고 그해 11월 워싱턴에서 첫 모임을 했다. G20 정상회의는 이후 런던·피츠버그·토론토 회의를 거치며 정례화의 길을 걷고 있다.

 최현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