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지티브 전략 왜 못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대선을 앞두고 양대 정당 모두 네거티브 캠페인 전략으로 일관하고 있어 역대 어느 선거보다도 혼탁한 선거가 될지 모른다는 우려를 금할 수 없다. 한나라당이 표방하고 있는 '부패정권 청산'이나, 민주당이 내걸고 있는 '낡은 정치 척결'이 그 전형적인 예다. 부패한 정권을 심판하고 낡은 정치를 끝낸다는데 이의를 제기할 국민은 한 사람도 없다. 오히려 부패하고 낡은 정치가 국가발전과 국민화합을 좀먹고 있기 때문에 양당의 구호대로 부패정권이 청산되고 낡은 정치가 척결되기만을 간절히 바라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당의 구호가 선뜻 가슴에 와 닿지 않는 것은 그 뒤에 숨어있는 네거티브 전략 때문이다. 시종일관 상대방을 '부패한 정치인'으로 또는 '낡은 정치인'으로 매도할 뿐, 국가와 민족의 장래에 관해 아무런 프로그램도 비전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양당의 구호는 미래에 대한 희망을 담기는커녕 오히려 국민과 괴리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 시점에서 부패정권의 심판도 중요하고 낡은 정치 척결도 물론 필요하다. 그러나 부패한 정권을 심판한다고 해서 자연적으로 '나라다운 나라'가 되는 것도 아닐 뿐더러, 낡은 정치를 척결한다고 해서 '새로운 대한민국'이 자동으로 탄생하는 것도 아니다.

이는 역사적으로도 이미 증명된 바 있다. 선거 때마다 각 정당은 부정부패 척결과 낡은 정치 청산을 내걸었고 정권을 장악한 후 이의 실현을 위해 적지 않은 노력을 기울인 것도 사실이었다. 그렇지만 새 정권도 얼마 가지 않아 전 정권의 전철을 밟아 척결과 청산의 대상이 되는 역설적인 현상이 반복됐고, 김대중(金大中)정권도 이와 같은 악순환에서 예외가 되지 못했다.

이러한 일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것은 지금까지 선동적인 구호로 국민을 동원하는 네거티브 캠페인만 있어왔고, 국민에게 비전과 희망을 주는 포지티브 캠페인은 없었기 때문이다. 각 정당이 상대방을 깎아내리려는 네거티브 전략에서 부패척결이나 비리청산을 외쳤을 뿐, 건전한 정치제도를 확립해 국민에게 희망을 주겠다는 포지티브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데까지는 미치지 못했던 것이다. 이로 인해 부패척결이나 비리청산 이후의 프로그램이 있을 수 없었고, 이에 대한 프로그램이 없다 보니 제도적으로 접근하지 못하고 가시적으로 나타나는 인적(人的) 청산에만 치중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 때문에 정치보복이라고 반발해도 이를 반박할 수 있는 근거조차 변변히 제시하지 못한 채 스스로 부패정치와 낡은 정치의 관성에 빠져들고 만 것이 지금까지 우리의 정치현실이었다.

이와 같은 후진적인 현상이 반복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서라도 각 당은 이제부터라도 네거티브 캠페인에서 포지티브 캠페인으로 선거전략을 바꿔야 한다. 왜냐하면 네거티브 전략으로 일관하는 한 앞서 말한 것처럼 미래를 설계하는 프로그램 부재로 자신이 내건 구호에서 한 걸음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할 것이고, 이로 인해 결국은 자신이 친 덫에 자신이 걸리는 일이 발생할 것이기 때문이다.

정적 제거 차원에서 동원한 논리가 자신의 발목을 잡는 현상이 되풀이되는 한 정치발전은 있을 수 없다. 이런 의미에서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상대 후보를 비난하기에 앞서 '나라다운 나라'나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한 프로그램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

어떠한 방식으로 나라답게 할 것인지 또는 무엇을 얼마나 새롭게 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국민에게 제시하고 이를 통해 다시는 이 땅에 부패정치, 낡은 정치가 발을 붙이지 못하게 하겠다는 확신을 국민에게 줘야 한다.

이는 부정부패와 비리가 뿌리내릴 수 없는 제도를 확립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기도 하거니와, 현실적으로 이에 대한 확신을 주는 후보를 국민은 지지할 것이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그리고 이렇게 해야만 누가 정권을 잡더라도 정치보복이라는 반발을 받지 않고 부패와 비리를 뿌리뽑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