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부문 약진하고 국유부문 축소 … 중국 경제에 ‘민진국퇴’ 추세 뚜렷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1면

민간부문이 중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국유기업이 약진하고 민간기업이 위축되는 ‘국진민퇴(國進民退)’ 현상이 나타났다는 분석은 큰 추세에서 볼 때 사실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인민일보는 10일자 경제면 머리기사로 “국진민퇴란 분석이 사실에 맞지 않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중국인민대학 경제학원 장위(張宇) 교수의 분석을 근거로 제시했다.

장 교수에 따르면 중국 기업의 소유구조 변화를 분석해 보면 국진민퇴 현상은 존재하지 않으며, 오히려 민진국퇴(民進國退) 추세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민진국퇴란 민간부문이 약진하고 국유부문이 축소되는 현상을 지칭하는 신조어다.

장 교수는 “국진민퇴 논란은 중대한 국가 경제정책과 관련되기 때문에 모호한 인식을 극복하고 정교한 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장 교수는 1978년 이후 국유기업의 자산 총액이 전체 기업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78년에 92.0%였던 국유기업 자산 비중은 2008년에 43.8%로 급락했다. 30년간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다는 계산이다. 2009년에도 43.7%로 소폭 줄었다. 최근에도 이런 추세는 계속되고 있다는 것이 장 교수의 분석이다.

국유기업 종업원 수도 2005년 전체의 27%에서 2009년엔 20%로 줄었다고 밝혔다. 특히 무역 분야에서는 비국유기업의 비중이 절대 우위에 있고, 도시 고정투자에서 민간부문이 차지하는 비중도 올해 처음 50%를 돌파했다고 장 교수는 밝혔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유기업의 확장 움직임에 대해 장 교수는 “금융위기의 충격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특수한 현상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중국 정부가 금융위기 극복을 위해 2008년 말 투입한 4조 위안의 재정이 국유기업에 많이 유입된 것은 일시적인 현상이자 다른 국가에서도 볼 수 있었던 현상이라는 것이다.

장 교수는 “금융위기 극복 과정에서 정부 재정은 대부분 인프라 구축에 투입됐기 때문에 민간부문이 참여할 수 없었지만, 결과적으로 인프라가 개선돼 민간부문의 발전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베이징=장세정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