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노트북을 열며

임태희·이재오와 남북 정상회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전임자 두 명이 모두 성사시킨 남북 정상회담을 이 대통령에게도 실현시켜주고 싶은 건 두 사람뿐 아니라 측근이라면 누구나 품어봄 직한 꿈일 것이다. 이 대통령 임기가 반밖에 남지 않은 만큼 늦어도 내년 중 회담을 성사시켜야 한다는 생각에 이들의 마음은 급할 수 있다. 하지만 정상회담 교섭에 나서기 앞서 명심해둘 것이 있다.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의 회담 대화록을 읽어본 이 대통령의 탄식이 그것이다. 극비 중 극비로 분류된 이 대화록을 읽고 나서 이 대통령은 “기가 막히다. 이럴 수가 있나”라는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한쪽은 고개를 숙이는 수준을 넘어 아예 애걸하는 모양새였고, 한쪽은 그게 당연한 것인 양 시종일관 고압적인 분위기였다는 것이다. 전자는 두툼한 대북 지원 보따리를 들고 간 우리 대통령들이었고, 후자는 그걸 받는 입장인 김 위원장이었다고 한다.

대화록은 극비이기에 그 내용을 밝히기는 어렵다. 그러나 최종 합의문 서명 과정에서 김 위원장 측이 우리 대통령을 아랫사람처럼 보이게 하려고 꼼수를 부리려 들었다는 얘기, 우리 대통령이 북한의 핵무기 개발에 우려를 표시하려 하자 김 위원장 측이 의전상 있을 수 없는 무례한 방식으로 일축했다는 얘기 등등이 흘러나오고 있다. “이런 식의 정상회담이라면 안 하느니만 못하다”는 게 이 대통령의 생각이라고 한다. 사실이라면 지극히 옳은 판단이다.

무릇 정상회담은 빈손 털고 일어나도 상관없다는 배짱과 확신이 있는 쪽이 유리하게 돼 있다. 또 자신이 얻어내려는 최소한의 목표에 대해 상대방에게 불확실성을 증폭시킬 줄 알아야 성공한다(데이비드 레이놀즈, 『정상회담』). 하지만 지난 두 번의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을 보면 이 두 가지 전술을 잘 구사해 한몫을 챙긴 쪽은 북한의 지도자였 다. 한정된 임기 내에 회담을 통해 가시적 성과를 내야 한다는 부담에 쫓긴 우리 대통령들은 그런 부담이 전무한 김 위원장의 무례하고 비상식적인 공세에 밀릴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물론 지난 두 번의 정상회담은 분단 60년 만에 남북 간 대화의 문을 열고, 정례화시켰다는 점 자체로 소정의 평가를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세 번째로 열릴 정상회담은 달라야 한다. 두 지도자가 상대를 존중하면서 실현 가능한 합의를 끌어내지 못하면 역풍만 자초할 것이다. 김 위원장은 달라진 현실을 인식하고 남측 파트너를 예와 신의로 대하는 법부터 배워야 한다. 이 대통령도 좌파들의 ‘묻지마’식 정상회담 요구에 밀리기만 할 게 아니라 자신이 생각하는 ‘제대로 된 정상회담’의 비전을 국민에게 밝히고, 이해와 협조를 구하는 노력부터 해야 한다.

강찬호 정치부문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