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日 수교교섭 재개할 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북·일 국교 정상화 교섭이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로 계속 삐걱거리고 있다.

일본 측이 북한을 현지조사한 결과 피랍 일본인 13명 가운데 8명이 연탄가스 사고·교통사고·익사·자살 등 '비참하게' 숨진 것으로 밝혀진 데다 그나마 의혹 투성이여서 여론이 들끓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그러나 이달 하순 제3국에서 국교 정상화 교섭을 재개할 방침이다. "교섭하면서 납치 문제 해결을 모색하는 게 낫다"(후쿠다 야스오 관방장관)는 판단에서다. 도쿄(東京)신문은 3일 "오는 28일부터 나흘간 국교 정상화 교섭이 열릴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빗발치는 여론을 의식한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장관은 2일 "정부 내 일부가 한 일이라도 지도자 책임"이라고 공개적으로 김정일(金正日)북한 국방위원장의 책임론을 제기했다.

납치 피해자 가족들은 특히 숨진 8명 가운데 6명의 묘가 '수해'로 유실된 점, 북한 측이 한번 화장했던 일부 유골을 하필이면 북·일 정상회담 개최 사실 발표일인 지난 8월 30일 다시 화장해 DNA 감식을 어렵게 한 점 등을 들어 타살·증거 인멸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북한은 "납치 책임자 2명 중 1명은 사형, 다른 1명은 15년 실형에 처했다"고 밝혔지만 일본은 미흡하다는 반응이다.

일본 정부는 납치에 관여한 북한 특수부대의 실상과 일본 내 '납치 청부업자'도 밝히라고 북한에 요구할 방침이다.

한국에서 간첩 혐의로 적발돼 사형 선고를 받았다가 2000년 비전향 장기수로 북한에 송환돼 '영웅 대접'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신광수(辛光洙ㆍ73)씨의 신병 인도도 요구할 계획이다. 일본 정부는 지난 8월 辛씨를 납치 용의자로 국제수배했다.

도쿄=오대영 특파원

dayyo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