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서리 청문회] 선거 중립 소신 강하게 피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1일에 이어 2일 계속된 인사 청문회에서 김석수(金碩洙)총리지명자는 선거 중립에 대한 소신을 강하게 피력했다.

듣기에 따라선 한나라당이 반길 만한 내용들도 있었다. "2000년 4·13 총선 직전의 정상회담 발표는 선거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김정일 답방과 경의선 개통 준공식 시기는 고려해야 한다"는 얘기를 했다. 민주당 의원이 "대선 때문에 경의선·동해선 개통식을 늦추자는 것이냐"고 재차 물어도 그는 "오해가 있는 일은 안하는 게 좋다"며 분명한 입장을 밝혔다.

비교적 여유도 있었다. '돈 씀씀이가 크지 않으냐'는 질문에 "번 돈을 남에게 써야 돈이 도는 것 아니냐"고 받아넘겼고, 지하철 요금을 묻는 의원에겐 "6백원이지만 사실 노인이어서 공짜로 타고 다녀 값을 잘 몰랐다"고 했다.

여러 총리 유형 중에 "안 똑똑하지만 부지런한 총리가 되겠다"고 했다가 "그게 가장 나쁜 유형"이란 지적을 받고는 "다시 한번 고르게 해달라"고 받아넘기기도 했다.

대미(對美)관에 대해 "친미(親美)·반미(反美)·용미(用美) 중 어디에 속하느냐"는 질문을 받곤 난처해하면서 "미국은 6·25 때 우리를 도와준 나라다. 굳이 따지자면 친미"라고 답했다.

◇장남 병역면제 논란

▶한나라당 정의화(鄭義和)의원=대뇌·소뇌 위축증이란 진단은 장남이 호소한 증상만으로 한 거냐.

▶이화동(병사용 진단서를 작성한 의사)=그렇다.

▶鄭의원=95년 가톨릭병원과 고신대병원의 자기공명촬영(MRI) 결과는 정상이라는 소견이 나왔다.

▶이광우 서울대병원 신경과장=이 환자는 위축에 관한 증세가 미흡하다. 그러나 95년의 MRI를 검토해 봤더니 소뇌 수축이 진행 중이라고 판단된다.

◇하동 땅 논란

▶민주당 김덕배(金德培)의원=金지명자의 하동 땅을 등기하면서 증여나 상속이 아닌 매매로 한 이유는.

▶김고산(金지명자 사촌동생)=매매니 증여니 상속이니 하는 것은 중요치 않다고 생각했다. 법무사가 전체를 일괄적으로 처리해준 것이다.

▶金의원=4살짜리 손자(金지명자 장남) 앞으로 등기된 땅도 증여하면 될 것을 매매로 등기한 것은 잘못 아니냐.

▶金씨=지금 상황에선 그렇다.

▶金의원=65년 金지명자의 부친이 살아있을 때도 증여나 상속받지 않고 매매로 등기한 것은 잘못이다. 편법등기로 도덕적으로 문제 있다.

▶金씨=그런 것 같다. 자식에게 바로 넘기고 싶어서 그랬던 것 같다.

◇삼성전자 사외이사

▶민주당 원유철(元裕哲)의원=사외이사에게 실권주를 배정한 것은 특혜성 아닌가.

▶최외홍 삼성전자 전무=주식의 시세를 예견할 수 없기 때문에 특혜라고 할 수 없다.

◇소득 신고 논란

▶민주당 문석호(文錫鎬)의원=金지명자는 평균 6백60만원 정도의 수임료 소득을 신고했는데 대법관 출신이면 1천만원은 기본 아니냐.

▶임춘일 세무사=대법관 출신이 건당 1천만원이란 얘기는 처음 들었다. 내 경험에 비춰보면 6백만원도 적지 않은 규모다.

서승욱 기자 sswo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