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하성흡 작 '조담방욕' : 맑은 못에 몸 담고 속세의 때 벗긴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1면

황지우 시인은 "자연은 사람의 눈을 만나 비로소 풍경이 된다"고 읊었다. 자연과 놀기 좋은 계절 여름이 맹렬하게 불꽃을 피워 올리며 절정으로 치닫고 있다. 자연을 풍경으로 만든 그림 속에서 그 폭염을 식혀본다.

편집자

"못이 맑아 깊어도 바닥 보이니/목욕을 마치어라, 파란 물무늬/못 믿을 건 세상 일/더운 여름길이 속세의 때 벗겨 주누나."

조선조 문신이며 유학자였던 김인후(1510~60)가 남긴 이 오언절구 '조담방욕(槽潭放浴)'은 전남 무등산 자락에 들어앉은 소쇄원에서 미역을 감고 나서 쓴 즉흥시다. 그의 벗 양산보가 지은 소쇄원은 자연의 기운과 인간의 마음이 하나로 합일된 아름다운 정원이었다.

도학정치를 실현하려 애쓰다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병을 핑계로 고향으로 돌아간 두 사람은 "도가 있으면 나타나고 도가 없으면 은둔한다"는 공자의 말을 실천했으며, 소쇄원은 '깨끗하고 시원하다'는 뜻 그대로 두 선비의 그런 절개와 지조를 지켜준 정신적 고향이었다.

'조담방욕'은 김인후가 소쇄원 경관들에 붙인 마흔 여덟 수의 '소쇄원 48영' 가운데 하나로, 사화와 당쟁을 피해 탈속한 삶을 살았던 당대 처사들의 마음이 잘 드러난 시로 널리 사랑받았다. "못 믿을 건 세상 일"이란 한 구절에서 어지러운 세파에 진저리를 치는 김인후의 속내를 읽을 수 있다.

이 '소쇄원 48영'에 감동해 한 수 한 수마다 그 장면을 그린 이는 화가 하성흡씨다.

광주에서 활동하며 소쇄원을 아꼈던 그는 '소쇄원 48영'을 주제로 한 전시회를 열고 이를 주제로 한 책 『긴 담장에 걸리운 맑은 노래』(현실문화연구 펴냄)도 내놨다.

그 가운데 한 점이 이 '조담방욕'이다.'조담'은 소쇄원 안에 있던 말구유통처럼 생긴 못인데, 바닥의 돌이 다 보일 정도라니 물이 얼마나 맑았을까 짐작이 간다.

휘늘어진 늙은 소나무가 저절로 만든 차일 아래서 처사 한 사람이 느슨하게 풀어헤친 옷차림으로 흐뭇한 웃음을 짓고 있다. 때는 한 여름, 맑은 물에 목욕하며 속세의 때를 벗기니 번잡한 인간세는 멀리 달아나고 절로 도의 경지에 이른 신선계가 문득 앞에 펼쳐진다.

돌돌돌 흐르는 물소리가 들리고, 한낮 뜨거운 태양과 그늘이 보이며, 그 품에 안겨 한 선비는 자연 삼매에 들었다.

김봉렬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교수가 소쇄원을 일러 "청각적인 정원이며 밝음과 어두움이 교차하는 입체적인 정원이고, 궁극적으로 시적 감흥을 불러일으킬 문학적 정원"이라 한 말이 가슴으로 파고드는 순간이다. 그림 속 선비는 간 데 없지만, 풍경은 남아 옛 사람들의 하늘과 뜻을 전한다.

정재숙 기자

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