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반월공단 열병합 발전소 민영화 싸고 진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추진 중인 산하 열병합발전소의 민영화 절차를 둘러싸고 단지 내 입주업체들이 산업자원부 등 정부 부처와 국회에 탄원서를 제출하는 등 강력 반발하고 있다. 현재 구미와 반월의 열병합발전소로부터 증기(蒸氣)를 공급받고 있는 업체는 구미 56곳·반월 1백90곳 등 모두 2백46곳.

이들은 그동안 구미·반월단지 내에 각각 열수용가 조합을 결성,민영화 참여를 추진해 왔다.

민간기업이 발전소를 인수한 후 증기요금을 급격히 인상할 경우 제조원가가 올라 경쟁력을 잃게 될 것이란 위기감 때문이었다.

공단 측도 이런 점을 감안, 민영화에 따른 지분구성을 민간업체 40%, 열수용가 조합 25%, 산업단지공단 30%, 우리사주 5%로 정했었다.

조합이 반발하고 나선 것은 공단 측이 팔기로 한 주식 가격과 절차상의 문제 때문.

조합 측은 "영리 목적이 아닌 순수한 지분 확보 차원에서 취득하는 것인 만큼 액면가(5천원)로 사게 해달라"고 요구했지만 공단 측은 "민간업체의 낙찰가에서 30%만 할인해 주겠다"고 밝혔다.

공단 측은 이어 "오는 22일까지 주식청약서를 접수할 것"을 요구하면서 "주식매매 계약이 예정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청약 보증금은 공단에 귀속하겠다"고 통보했다.

공단 측은 "이미 주식매각 공고 및 안내서를 통해 매각절차를 알렸다"면서 "조합 측의 주장은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반월 열수용가 조합 김학봉 조합장은 "청약보증금부터 내고 나중에 주식 가격 이견 등으로 계약이 깨지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겠다는 것은 민영화 지분을 포기하라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이수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