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 '일자리 만들기' 지자체 역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실업해소를 위한 지자체의 역할을 놓고 후보간 입장차이가 선명하다.

현직지사인 민주당 우근민(禹瑾敏)후보는 '기업에 예산지원만 하는 수준에 그쳐야 한다'고 답했다.그는 "공기업도 민영화하는 판인데 관(官)이 많이 개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기업이 사업을 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1기 민선지사와 축협회장을 지냈던 한나라당 신구범(愼久範)후보는 '자치단체와 민간기업의 합작'을 내세웠다. 그는 "실질적으로 실업률을 줄이기 위해서는 자치단체가 '행정'이 아닌 '기업'을 해야 한다"며 "당선되면 내가 지사시절 만들었던 ㈜제주교역 등 상당수 민관 합작기업을 활성화해 1만여개의 일자리를 새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민국당 신두완(申斗完)후보는 "도정이 신뢰를 잃은 상태여서 아예 민간기업에 맡기는 게 낫다"는 입장이다.

정책 우선순위에서 禹후보는 경제개발·국제화를, 愼후보는 경제개발·복지를 각각 1,2순위로 꼽았다.

禹후보는 "총 29조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제주국제자유도시 추진사업을 본격 추진하는 것이 국제화의 초점"이라고 말했다. 愼후보는 "삶의 질을 높이고 유지하는 것이 관광제주의 미래를 위해 필수적"이라며 복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부패방지·복지를 각각 1,2순위로 꼽았다.

禹후보는 경제활성화와 복지확대의 비율을 70대 30, 愼후보는 60대 40으로 설정했다. 禹후보는 "지역경제가 활성화 돼야 소외계층 복지도 실현할 수 있다"고 했다. 愼후보는 "복지가 중요하지만 현 수준에서 크게 높이기는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申후보는 50대 50을 제시했다.

정치부 기획취재팀=이하경·나현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