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上. 광역단체장 후보 공약 비교 :울산시장> '경부고속철 驛舍 유치' 찬반 엇갈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울산시장을 노리는 박맹우(朴孟雨·한나라)·송철호(宋喆鎬·민주노동당)·안승천(安承千·사회당) 등 세명의 후보는 비슷한 공약을 내걸고 선거전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지역현안 중의 하나인 경부고속철도 사업과 관련, 朴·宋후보는 울산역사 유치를 주장한 반면 安후보는 자연훼손 등을 이유로 고속철 건설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朴후보는 20여년간의 공직 경력을 활용,'울산의 미래를 열어갈 10개 분야 1백14대 실천약속'을 내놨다.

宋후보의 공약은 전문가들이 선정한 정책개발 시정운영 9대 원칙과 지역 현안(12개)에 대한 정책대안 등으로 짜였다.

安후보는 중소·영세기업 근로자와 비정규직 근로자의 권리확보와 장애인·여성복지 향상 등에 대한 15개항의 공약을 제시했다.

세 후보는 산업도시 울산의 특성을 살려 ▶산업구조 고도화와 오토벨리 조성 등을 통한 경제 활성화▶비정규직 근로자 보호대책▶노동분야 옴부즈맨제 도입 등을 공통적으로 주장했다.

또 울산 신항만 건설을 국책사업으로 차질없이 추진하고 울산을 국제 무역·정보도시로 발전시킨다는 청사진을 그렸다.

이와 함께 '공해도시 울산'의 오명을 씻기 위한 대기오염 방지 대책 수립과 국·공립대학 유치, 시립병원 설립,결식아동 지원 확충 등을 약속했다.

이밖에 의회와 각종 심의위원회 등에 여성 진출을 늘리고 비정부기구(NGO)의 시정 참여 확대를 위한 지원방안을 내놨다.

후보들은 행정정보를 공개해 부조리를 없애고 행정 처리내용을 시민들이 알 수 있도록 하겠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그러나 세 후보의 공약은 대부분 울산시정에서 드러난 문제점 등을 백화점식으로 나열해 놓았을 뿐 구체적인 실천계획을 충분히 제시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만만찮다.

울산민주시민회 진영우 의장은 "선거공약의 타당성과 실현 가능성 등을 검증할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허상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