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깜짝 베팅'… 삼성·LG 당혹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3면

민영화 이후 KT가 직면할 주요 과제는 크게 두 가지다. 경영구조를 어떻게 짜느냐와 과연 수익성 있는 민간기업으로 탈바꿈할 수 있느냐다.

일단 정부와 KT가 목표로 하는 경영구조는 소유와 경영이 분리된 전문경영인 체제다.

어느 한 기업이 지배적 사업자로 공공서비스 성격이 강한 통신사업을 좌지우지하는 것을 막겠다는 의도다.

이를 위해 정통부는 7월께 주총을 열어 공모제 등 현행 사장 선임체제를 민영화이후에도 유지하기 위해 정관을 개정한다.

또 전문경영인의 경영독립성 보장을 위해 해임을 상법상 주총 특별결의로만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또 한편으론 사외이사 수를 늘리고 기능을 강화해 경영인의 부실경영을 감시한다는 전략이다.

하지만 전문경영인 체제가 계속 유지될지는 미지수다. 그동안 KT는 민영화특별법에 따라 동일인(혹은 법인)의 지분한도가 15%로 제한돼 있었으나 민영화와 함께 이 법의 규제가 사라진다.

이론상으론 누구라도 주식시장에서 공개적인 주식취득을 통해 최대 51%의 지분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정도 규모의 지배적 사업자가 나올 경우 어떤 방식으로든 경영에 관여하려 할 것이고, 경우에 따라선 정관개정을 요구하는 것도 충분히 생각할 수 있다.

또 하나 중요한 것은 민간기업이 된 KT가 충분한 수익성을 갖출 수 있느냐다.

현재 주력사업인 유선전화사업만으론 KT가 2005년 목표로 잡은 매출 21조원, 영업이익률 20% 이상을 달성하기 힘들어 보인다.

KT는 앞으로 초고속인터넷·유무선통합서비스·e포털·IP 사업 등 4개부문을 매년 1조원을 벌어들이는 새로운 성장엔진으로 키울 계획이다.

하지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