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파트 운명은 : 최대 위기속'대타'없어 살아남을 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아라파트는 이번 사태로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했다. 하지만 아라파트가 이번에도 살아남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1982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으로 튀니지로 도망치는 굴욕적인 상황에서도 아라파트는 살아남았다.

아라파트는 이스라엘이 자신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고 믿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팔레스타인측에 아라파트를 대신할 인물이 없기 때문이다. 아라파트가 사라지고 나면 훨씬 강성(强性)인 인물이 뒤를 이을 것이 분명하다.

그럼에도 이스라엘이 자신을 제거하기로 한 이상 선택의 여지가 없다. 아라파트는 양면성(兩面性)을 가진 인물이다. 항상 한손엔 평화를 상징하는 올리브나무 가지를, 다른 한손엔 권총을 들어왔다. 때가 됐다고 판단하면 언제든 올리브나무 가지를 권총으로 바꿔들 수 있다.

그러나 아라파트가 무장투쟁으로 돌아간다 해도 과거와 같은 게릴라활동을 벌이진 않을 것이다. 미국이 테러와의 전쟁에 나선 지금 설 자리가 매우 좁을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으로부터 테러집단으로 규정될 경우 살아날 수 없다. 따라서 지금처럼 인티파다(팔레스타인 민중봉기)를 통해 국제여론에 팔레스타인의 입장을 호소할 것이다.

정우량 국제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