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물의 날> 제2회 물사랑 大賞 -보건절약 : '無비료 환경농업'으로 상수원 보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남한강과 북한강이 용문산을 감싸안고 흐르는 산자수명(山紫水明)의 고장인 경기도 양평군.

1973년 수도권 주민의 상수원인 팔당호가 준공된 이후 양평군은 각종 규제에 발이 묶였다. 상수원을 보전해야 한다는 구실 때문에 화장실 하나 마음대로 고칠 수 없는 불편을 겪어온 양평 주민들은 한강 물을 '원수'처럼 대했다.

이같은 양평군이 22일 세계 물의 날을 맞아 중앙일보와 아태환경NGO한국본부가 공동으로 주는 '제2회 물사랑 대상'에서 보전절약 부문 대상을 받게 됐다.

양평군의 물 사랑은 발상을 전환한 덕분이다. 규제지역이라는 점을 역(逆)으로 활용, 환경 관광·농업으로 지역의 활로를 찾은 것이다. 민병채(閔丙采·63·사진)군수를 중심으로 8만여 주민들은 98년 '양평 환경농업21'(Yeam-21)사업을 시작했다. 제초제·농약·화학비료 쓰지 않기와 메뚜기 서식지·반딧불이 서식지·허수아비 들판 만들기 등의 캠페인을 펼쳤다.

처음에는 "농약·비료 안주고 어떻게 농사를 짓느냐"며 반발하는 주민들이 적지 않았다. 하지만 閔군수는 "21세기 양평의 유일한 선택은 '맑은 물 사랑'밖에 없다"며 "흙이 좋아져야 물이 맑아지고 환경보전도 가능하다"고 주민들을 설득했다.

결국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 97년에 비해 지난해에는 농약 사용량이 52% 줄고, 화학비료 사용량 역시 26% 감소했다.

오리가 논의 해충·잡초를 먹어 치우는 오리농법을 채택한 논도 2백75㏊에 이르렀다. 여름밤은 반딧불이가 수를 놓고 가을 논두렁엔 메뚜기와 허수아비가 정겨운 모습을 연출하게 됐다.

閔군수는 "반딧불이 체험이나 메뚜기 잡기, 허수아비 만들기는 전국적인 행사가 됐다"며 "깨끗한 양평군 농산물을 청정 브랜드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