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영재학교 캠프 전형 합격 전략 ① 과학

중앙일보

입력

연구 계획 수립·설계 능력 평가 일관성 있는 보고서 내놔야

올해 한국과학영재학교를 제외한 과학영재학교 세 곳(서울, 경기, 대구)은 입학 전형의 마지막 단계에서 캠프 전형을 실시한다. 캠프 전형에서 이뤄지는 평가 중 ‘과학 탐구 과제’
를 해결하는 방법을 자세히 짚어보자.
 
1차 서류 전형 산출물에 대한 철저한 검증
캠프 전형에서 과학 탐구 과제를 제시하고 해결하게 하는 이유는 1차 서류 전형에서 제출한 산출물들이 학생의 역량인지 파악하고 과학 탐구력을 관찰하기 위해서다. 이에 따라 예년처럼 실험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할 것인지 연구를 계획하고, 직접 전 과정을 설계하는 방식으로 치러진다. 실험 도구 조작 능력보다 전체적인 연구 계획 수립과 연구 과정 설계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다.
 
출제자의 입장에서 생각하라!
우선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요소인 문제 파악을 잘 해야 한다. 아무리 훌륭하고 좋
은 보고서라도 과제의 의도를 잘못 파악해 엉뚱하게 풀어가면 좋은 점수를 받기 힘들다. 탐구 과제지를 받은 즉시 어떤 과제인지 를 면밀히 살피고 분석하는 작업에 충분한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큰 틀을 먼저 결정하라!
과학 탐구 과제에 대한 일관성 있는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연구에 대한 전체 그림을 그린 후 세세한 부분을 결정하자. 어떤 연구를 해야 할 지에 대해 자신이 분석한 연구 주제를 쓰고, 이 연구에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문제를 해결할 때 어떤 방법들이 가능한지, 연구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지 등 을 적는 것이다.
 
탐구 과정 요소를 정확히 사용하라!
연구 계획을 세울 때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위해 적절한 가설을 세우고 변인 통제를 올바
르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 자료를 해석하거나 관찰해 결과를 도출해야 할 경우 어
떤 방법을 사용해 자료를 분석할 것인지, 어떤 방법으로 관찰할 것인지 등 탐구 과정 요소
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히 사용할 수도 있어야 한다. 기초 탐구 과정으로는 관찰, 분류, 측정, 예상, 추리가 있다. 통합 탐구 과정엔 문제 인식, 가설 설정, 가설 검증, 변인 찾기, 변인 통제, 자료 변환, 자료 해석, 결론 도출이 있다.

정교성을 발휘하라!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계획하고 설계할 때 누가 읽더라도 연구 진행 방법이나 과정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하고 꼼꼼히 작성해야 한다. 주어진 과제에 대한 해결 방법을 생각하고, 생각한 것을 자세히 표현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읽는 사람들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보고서에 그림과 함께 상세한 설명까지 덧붙이면 더 좋다.
 
과학 지식을 많이 쌓자!
연구 계획엔 많은 지식이 필요하다. 알고 있는 것 뿐 아니라 정보에 대한 신빙성을 입증
할 수도 있어야 한다. 또 연구 계획은 실현 가능성이 있어야 하며, 결과에 대한 오차를 최
소화하기 위한 방법도 제시하면 좋다. 따라서 평소 뉴스나 잡지에 실린 최신 과학 동향
을 습득하고 책을 통해 다방면의 지식을 섭렵할 필요가 있다. 이때 습득한 지식을 어디에 사용할 수 있는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 지를 염두에 두고 정보를 습득해야 한다. 항
상 주변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에 대해 호기심을 갖고, 문제 상황 발생 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도록 연습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있을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